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쓸 때가 되면 바람과 구름, 비와 이슬, 서리와 눈을 뜻대로 쓰게 되리니 일심혈심(一心血心)으로 수련하라. 누구나 할 수 있느니라
    - 증산도 도전11:117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만트라 수행과 도공의 세계

새벽수행, 온몸의 세포를 젊게 한다
 
* 나는 생장염장(生長斂藏) 사의를 쓰노니 이것이 곧 무위이화니라. (道典 2:49:1)
 
* 대인을 배우는 자는 천지의 마음을 나의 심법으로 삼고, 음양이 사시(四時)로 순환하는 이치를 체득하여 천지의 화육(化育)에 나아가나니, 그런고로 천하의 이치를 잘 살펴서 일언일묵(一言一默)이 정중하게 도에 합한 연후에 덕이 이루어지는 것이니라.
만일 사람이 사사로운 욕심에 사로잡혀 자기 좋은 대로 언동하고 가볍고 조급하며 천박하게 처세하면 큰 덕을 이루지 못하느니라. (道典 4:74:10∼12)
 
 
 


- 천지 이치에 순응하여 생활해야 면역력이 증강되고 건강해진다
- 규칙적으로 새벽수행을 하면, 새벽의 생기(生氣)를 흡수하여 온몸의 세포가 젊어진다
- 자연의 계절변화에 따라, 여름에는 여름옷을 겨울에는 겨울옷을 입어야 건강하다
- 지금은 천지의 계절이 여름에서 가을로 바뀌는 가을개벽기
- 지구촌의 모든 인간은 가을개벽의 이치에 맞추어 살아야 후천의 열매생명으로 성숙한다
- 최고의 건강법은 자연섭리에 순응하는 것
 
현대인의 가장 큰 관심사는 건강이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크고 작은 질병에 시달리고 있다. 왜 그럴까? 여기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겠지만 하루 하루의 불규칙한 생활도 한몫 한다.
그러면 건강한 삶을 위해 하루 일과는 어떠해야 하는 걸까? 결론적으로 하루 생활을 천지자연의 생명주기에 맞추어야 한다. 즉 일하고 잠자고, 식사하고 배설하는 모든 행위들도 각기 그에 적합한 제 시간이 있다는 얘기다.
 
 

새벽·아침 시간대는 동방의 목기木氣가 강한 봄철과 같다. 12지지로는 인·묘·진에 해당한다.


인시(寅時, 새벽 3시∼5시)
폐肺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이 시간대에는 잠에서 깨어나 호흡을 하고 움직이기 시작해야 한다. 동쪽에서 태양이 뜨면 양기가 점차 상승하여 호흡수도 점차 증가하고 혈압과 맥박이 올라가기 시작한다. 또한 여러 장기들이 조금씩 움직이기 시작하므로 정신도 맑아지기 시작한다.
인시寅時에는 양기陽氣가 발동하기 시작하므로, 이 시간대에 수행을 하면 생명의 양기를 고스란히 받아들일 수 있다. 때문에 구도의 길을 가는 수행자들에게 새벽수행은 더할 나위 없이 소중하다. 규칙적인 새벽수행은 온몸의 세포를 젊게 하고, 하루 생활을 활기차게 한다.
 
묘시(卯時, 아침 5시∼7시)
대장大腸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대변을 보아야 정신이 쾌청해진다. 따라서 매일 아침 묘시에는 대변을 보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실제 머리에 있는 이목구비의 7개 구멍은 아래에 위치한 항문이 열릴 때 그 기능이 활성화된다. 다시 말하면 하루 중 화장실에서 용변을 볼 때 백회와 회음을 관통하는 충맥沖脈이 자연스럽게 열려 천지의 기운을 받아들이는 ‘기의 통로’가 열린다.
 
진시(辰時, 아침 7∼9시)
위장胃腸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따라서 이 시간에는 아침을 먹어야 한다. 밥을 지칭하는 ‘진지’라는 말도 ‘진시에 음식물을 섭취했는가’를 뜻하는 말에서 유래했다. 옛말에 조반석죽朝飯石粥이라는 말이 있다. 아침은 하루를 시작하므로 잘 먹어야 하고 저녁은 오장육부가 피곤한 상태이므로 죽을 먹는 것이 좋다는 선조들의 가르침이다.
 

점심 시간대는 여름철에 해당하며, 남방의 화기火氣가 왕성한 사·오·미의 시간대이다

사시(巳時, 오전 9시∼11시)
비장脾臟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비장은 위장이 섭취한 음식물에서 하루 동안 필요한 피의 원료와 각종 영양분을 뽑아 각 기관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진시에 음식물을 섭취해야만 비장의 기능이 가장 왕성한 사시에 비장이 제대로 활동할 수 있다.
 
오시(午時, 오전 11∼오후 1시)
심장心腸의 기운이 왕성해진다. 심장은 비장으로부터 받은 영양물질을 피의 원료로 삼아 뜨겁게 쪄서 붉은 피로 만들며, 끊임없는 펌프질을 통해 폐와 온몸에 혈액을 공급한다. 양기의 상승에 힘입어 혈압이 높아지고 심장이 고동치게 된다. 따라서 오시에는 차분하고 편안한 마음과 정신을 유지해야 왕성한 정신활동이 가능하다. 시력기능도 최고조에 이른다.
 
미시(未時, 오후 1시∼3시)
소장小腸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소장은 우리 몸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흡수해 각 기관에 공급한다. 서서히 기운이 빠지고 피로가 밀려오기 시작한다. 정신활동 면에서 보면, 미시는 정신작용이 최고조에 이르렀다가 아래로 다시 내려가는 터닝포인트turning point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시간대에 졸음이 많이 쏟아지는 것이다.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10∼20분 정도 낮잠을 자는 것도 좋다.
 
 

저녁 시간대는 자연의 열매를 거두는 가을철에 해당되며, 12지지로는 서방의 금기金氣가 왕성한 신·유·술의 시간대이다

신시(申時, 오후 3시∼5시)
방광膀胱의 기운이 가장 왕성한 시간. 우리 몸의 노폐물을 깨끗이 배출시키고 몸속의 기운과 피를 서서히 정리한다. 이때는 인체의 신진대사가 휴식 쪽으로 전환되며 몸의 진액을 거두기 시작하므로, 대뇌에서도 장기적인 암기능력이 증가하는 때이다. 또 미각·후각 역시 가장 예민해지는 때이다.
 
유시(酉時, 오후 5시∼7시)
신장腎臟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이 시간에는 우리 몸의 모든 기운과 진액이 아주 깨끗한 물질로 변해가게 된다. 유시에 이러한 상태가 유지되어야 다음날의 시작인 인시에 눈을 떴을 때 온몸이 상쾌하다. 이 시간쯤이면 진시와 오시에 먹은 음식물이 어느 정도 소모되었을 때이므로 가볍게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 죽처럼 부담이 적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물이 좋다.
 
술시(戌時, 오후 7시∼9시)
심포心包의 기능이 왕성하다. 정신적 신체적으로 가장 불안정한 때이며 호르몬 변화로 인해 협압도 불안정하다. 심포가 심장의 역할을 대신하므로 흐르는 피의 양도 적어져 체내 온도는 전반적으로 떨어지고 몸은 피로한 상태가 된다. 만약 술시 이후에 무리하게 일을 많이 하면 몸에 열이 가해져서 몸이 마르고 허약해진다. 특히 이 시간에 음식을 많이 먹으면 체내의 모든 기관에 부담을 주어 열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피로가 더해질 뿐이다. 굳이 먹고 싶다면 뇌에 활력을 줄 수 있는 포도당이 많이 든 맑은 주스나 물엿·경옥고 등을 물에 타서 먹는다.
 
 

밤의 시간대는 북방의 수기水氣가 많은 겨울철과 같다. 12지지로는 해·자·축에 해당한다

해시(亥時, 밤 9시∼11시)
삼초三焦의 기능이 왕성한 시간. 삼초는 체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시각에 몸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뜨거운 피를 식히고 정화해야 할 이 시간에 활동을 많이 하면 피가 들끓고 증발함으로써 어혈과 같은 불순물이 생기고 피가 혼탁해진다. 하루 일과를 정리하고 잠자리에 들 준비를 해야 한다.
 
자시(子時, 밤 11시∼새벽 1시)
담膽의 기운이 왕성한 시간. 자시에는 우리 몸의 머리 꼭대기에서부터 발가락 끝까지 뇌수腦髓라는 중요한 물질이 공급된다. 즉 자시에는 담의 기운이 뇌수를 운반해 척추를 통해 365골절의 마디마다 이 진액을 공급한다. 이 진액이 뼈로 들어가면 골수骨髓가 되어 하루의 기운과 힘을 생성한다. 자정에는 세포의 재생력이 최고조이며 면역세포인 T세포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시기이다.
만약 자시에 깨어 있으면 우리 몸의 원동력이 되는 이 진액을 공급받지 못하므로 잠에서 깨어나도 개운하지 못할 뿐 아니라 하루 종일 피곤하고 힘을 쓸 수가 없다. 이 시간대에는 반드시 잠을 자야 하루의 기운을 충분히 받을 수 있다. 자시 동안 두 시간 잘 자는 것이 낮에 10시간 자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축시(丑時, 새벽 1시∼ 새벽 3시)
간肝 기능이 왕성한 시간. 간은 피를 깨끗이 하고 몸에 나쁜 물질이나 병균을 없애는 해독작용을 한다. 축시가 되면 간에서는 그 동안 정화한 모든 피를 온몸으로 조금씩 보내기 시작해서 인시부터 서서히 맑은 피를 방출하기 시작한다. 하루의 힘과 기운은 자시의 담 기운과 축시의 간肝 기운에 달려 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하루단위로 꼭 지켜야 할 생활수칙
첫째, 되도록 아침 6시 이전에 일어나고, 수행을 반드시 한다.
여건상 불가피하게 밤늦게 근무를 해야 하는 경우라도, 반드시 새벽수행을 하고 나서 잠깐 쉬는 시간을 갖는다.
둘째, 매일 아침시간에 용변을 보는 습관을 들이고, 아침을 꼭 먹는다.
셋째, 오후 늦은 시간부터는 가급적 찬바람을 쏘이지 말고 편안한 마음으로 지낸다.
넷째,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일찍 귀가하고, 오후 7시 이전에 가벼운 저녁을 먹고 쉰다.
다섯째, 최소한 밤 12시 이전에는 잠자리에 꼭 든다.

조회 수 :
367
등록일 :
2009.09.26
08:38:3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31/336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24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292 2020-02-19
33 태을주 수행<주문 따라읽기> 태일[太一] 451 2008-09-03
태을주(太乙呪) 훔치 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 태을주(太乙呪)는 신(神)의 여의주(如意珠) 우리가 태을주를 읽는 것은 그냥 마음 닦아 도덕적인 세상을 만드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태을주 공부는 영적인 눈을 뜨게 하여 천상과 지...  
32 태을주 수행에 대한 문답(+태을주 주문 듣기) 태일[太一] 22144 2008-09-03
♣태을주(太乙呪)는 심령(心靈)과 혼백(魂魄)을 안정케 하여 성령을 접하게 하고 신도(神道)를 통하게 하며 천하창생을 건지는 주문이니라. (증산도도전11편 180장) 태을주 듣기 태을주(太乙呪) 훔치 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 #근본적...  
31 주문 수행의 의의 태일[太一] 299 2008-09-04
주문 수행의 의의 수행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참선 수행처럼 소리를 내지 않고 하는 수행법과, 주문을 소리내어 읽으며 수행하는 방법이 바로 그것입니다. 두가지 모두 궁극의 깨달음에 도달하기 위한 수행법입니다. 그러나 문명이 과학화될수록 수...  
30 주문(呪文)이란 무엇인가 (1) 태일[太一] 2169 2008-09-04
주문(呪文)이란 무엇인가 ? 가. 주문의 어원(語源) 주문은 산스크리트어로 만트라(Mantra) 라고 한다. 글자를 파자(破字)해 보면 마음을 뜻하는 만(man) 과 보호, 도구의 의미가 담겨있는 트라(tra) 로 이루어져 있다. 즉, 만트라는 "마음이 그릇된 망상에 빠...  
29 주문수련이란 무엇인가(2) 태일[太一] 2045 2008-09-04
주문수련이란 무엇인가? 주문수련이란 소리 내서 하는 수련법입니다. 입으로 어떤 정형화된 글을 읽음으로써 수련을 한다는 것입니다. 먼저 주문에 대해서 알아보면 이렇습니다. 주문이란 영어로 만트라(mantra)인데 이 만트라는 만(man)+트라(tra)로 나뉘어 ...  
28 태을주 수행의 놀라운 위력 태일[太一] 216 2008-09-16
태을주 수행의 놀라운 위력   이재순 씨는 예전에 백화점에서 오랫동안 일을 해서 어깨를 잘 쓰지 못하고 허리도 아팠다. 직업병으로 여기저기가 좋지 않았던 그녀는 태을주 수행을 하고 나서 거의 완치가 되었다.   “한번은 친구를 따라 도장에 가서 같이 ...  
27 무궁한 조화를 내려주는 여의주, 태을주 수행 file 태일[太一] 275 2008-09-16
무궁한 조화를 내려주는 여의주, 태을주 수행 저는, 입도 전에는 증산도 진리서적에 푹 빠져서 저의 잘못된 가치관이 하나하나 무너지는 체험을 했고, 입도 후에는 태을주의 세계에 푹 빠져 신앙의 즐거움을 느끼기 시작하였습니다. 태을주의 조화권을 체험했...  
26 칠성경(七星經) 주문설명과 따라읽기 태일[太一] 799 2008-09-16
칠성여래 대제군 북두구진 중천대신 七星如來 大帝君 北斗九辰 中天大神 상조금궐 하부곤륜 조리강기 통제건곤 上朝(照)金闕 下覆崑崙 調理綱紀 統制乾坤 대괴탐랑 문곡거문 녹존염정 무곡파군 大魁貪狼 文曲巨文 祿存廉貞 武曲破軍 고상옥황 자미제군 대주천...  
25 주문을 읽는 자세와 마음 file 태일[太一] 356 2008-09-16
후천 조화 문명을 여는 태을주 공부  1. 태을주로 조화 문명을 연다  가을 개벽기에는 태을주를 읽지 않으면 누구도 소멸돼 버린다. 한순간에 나뭇잎처럼 떨어져 버리면 생명 공급을 못 받아서 그냥 무화되고 만다.    태을주를 읽는 것은 천지 어머니 젖...  
24 북두칠성의 역활과 기능 file 태일[太一] 296 2008-09-16
1. 칠성의 구조 『도전』 5편 맨 끝을 보면 오른쪽에 북두칠성에 대한 해석이 있다. 제일 아래 칠성이라고 하는 별의 상수를 보면 천지와 수화금목토, 여기 순서로는 화수토목금을 주관한다. ‘통제건곤 대괴탐랑 문곡거문 녹존염정 무곡파군(統制乾坤 大魁貪...  
23 척신을 물리쳐준 운장주 file 태일[太一] 226 2008-09-16
척신을 물리쳐준 운장주    저는 다른 사람들에 비해서 유달리 가위에 심하게 눌립니다. 한번 가위에 눌리면 그 자리에서 다시 잠들지 못합니다. 그 자리에서 계속 자면 밤새도록 가위에 눌리기 때문이지요. 계속 가위눌려서 고생하던 저는 외갓집에 행사가...  
22 영보국 정정지법(靈寶局 定靜之法)의 원리 file 진리의 빛 551 2008-11-06
영보국 정정지법(靈寶局 定靜之法)의 원리 (1) 영보국(靈寶局)이란? 영보국은 소우주小宇宙요 소천지小天地인 신령스런 인간을 일컫는 별칭이다. 인체에서 심心은 임금, 곧 천군天君에 해당하며, 몸 속의 핏줄은 임금의 명령과 조칙을 수행하는 것과 같고, 팔...  
21 뇌파와 주문수행 file 태일[太一] 1011 2008-12-08
주문은 뇌파를 떨어뜨리고 염파는 올라가게 하는 탁월 한 능력을 갖고 있다 .... 염파란 단순한 생각의 파장이 아니다. 왜냐 하면 염파(念波)는 곧 영파(靈波)이기 때문이다. .... 우리가 내뱉는 말 한마디 한마디도 넓게 말하면 주문이다. 그러니 말 을 함부...  
20 태을주 수행 따라하기 file 태일[太一] 266 2008-12-17
태을주 수행 훔치 훔치 태을천 상원군 훔리치야도래 훔리함리사파하 태을주(太乙呪)는 신(神)의 여의주(如意珠) 우리가 태을주를 읽는 것은 그냥 마음 닦아 도덕적인 세상을 만드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다. 태을주 공부는 영적인 눈을 뜨게 하여 천상과 지상 ...  
19 태을주 수행 3분만에 따라 하기 file 태일[太一] 280 2008-12-17
태을주 수행 3분만에 따라 하기 1.복장 몸(특히, 하복부)을 조이지 않는 편안한 옷을 입으라. 허리띠는 느슨하게 풀라. 몸에 딱 붙는 청바지나 합성섬유로 된 옷을 입고 수행할 경우 호흡하기도 불편할 뿐더러 기혈의 소통에 방해를 가져올 수 있다. 2.자세 ...  
18 태을주,운장주,칠성경,갱생주,천지진액주,개벽주,진법주.. 주문입니다. file 태일[太一] 739 2009-03-14
태을주,운장주,칠성경,갱생주,천지진액주,개벽주,진법주.. 주문입니다. 태을주,운장주,칠성경,갱생주,천지진액주,개벽주,진법주.. 수행이란? 밑에 부분을 각각 클릭하면 주문이 나옵니다. 심신 수행의 길 태을주-01 태을주-02 천지진액주 운장주 절후주 갱생...  
17 [동영상]몸과 영혼을 치유하는 태을주(太乙呪) file 태일[太一] 721 2009-04-24
2004년 있었던 강릉 단오제의 행사일부인 태을주와 오오라(AURA) 체험전을 소개해 드립니다. 평소 신비세계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이라면 매우 좋은 기회가 될 것임을 확신합니다. <부제 : 신과 인간의 만남> <강릉단오제 중 증산도 태을주 체험전 동영상> 『물...  
16 전염병 예방엔 태을주 수행이 근원적인 치유책 file 태일[太一] 280 2009-08-30
대장금에서 두창(천연두) 처방에 관해 알려주는 장면 주의해서 볼 내용은 두번째 매화관련 내용 1.『동의보감東醫寶鑑』 「소아과小兒科」篇 『東醫寶鑑』 「小兒科」 篇 [服梅花方] 服梅花可免出痘 十二月收梅花不拘多少陰乾爲末煙 蜜丸如 實大 每一丸好酒化...  
15 증산도 수행법은 뭐가 다른가요? file 태일[太一] 627 2009-09-08
증산도 수행은 어떻게 하나요? 수행이 뭘까요? 수행이란 닦는 것이다. 뭘 닦는 것일까요? 기존종교의 수행관을 주욱 돌아보자. 유교는 성인聖人을 목표로 몸을 닦는(修身) 수행관을 가지고 있다. 유교의 수행관은 성誠, 정일집중精一執中, 건중건극建中建極 ...  
14 마음 닦는다는 것의 의미 file 태일[太一] 290 2009-09-26
마음 닦는다는 것의 의미   1) 사물에 대한 인식능력을 높이는 것 마음 닦는다는 것은, 첫째 사물에 대한 인식 능력을 높이는 것이다. 수행을 통해, 몸의 기운이 수승화강의 과정을 거쳐 정화된다.  생리학적으로 우리 몸의 기능은 삼초三焦로 나누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