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하늘은 이치(理)이니라.밝고 밝은 하늘이 사람 마음속 하늘과 부합하니 이치(理)는 하늘에 근원을 두고 사람의 마음에 갖춰져 있느니라
    - 증산도 도전2:90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유불선[儒.佛.仙]철학과 종교
[서평] 철학의 즐거움

---------[ 받은 메일 내용 ]----------
제목 : 여전히 꼬인 지식

 

1. 아직도 불교와 도교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겠어. 좀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거 같아.

2. 기독교와 도교가 각각 0무극과 10무극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설명을 못하겠어.

이 두문제를 풀어줄 좋은 글 없어?

내가 전에 썼던 건데 이 설명들 중에 틀린 부분좀 가르쳐줘. 내가 썼지만, 뭔가 어색하고, 내가 잘못 알고 있는게 있는것 같아.

도교는 무극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도교의 근본정신은 자연이 태어나기 시점 바로 그때로 돌아가자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만물이 생겨나기 시작하면서 선이 생기고 악이 생겼기 때문에 인간은 선과 악속에서 시달리며 산다는 것이다. 선과 악조차 태어나기 이전, 바로 우주의 바탕자리로 돌아가자는 것이 도교이다. 아무것도 없는 본체자리,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는 자리가 바로 평안의 자리라고 생각하는 도교는 인간의 까달음을 무극의 아무것도 없는 무아경지, 바로 우주의 바탕자리라고 표현한다.

불교는 태극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만물이 태어나고 음양으로 분화되어 모든것이 시작되었지만, 불교에서는 남에게 정을 주는것 조차 에너지를 소비하는 것이라고 본다. 그렇기에 음과 양의 정 가운데, 바로 0의 자리, 음양의 기운의 영향을 받지 않는 가운데의 공의 자리를 깨달음의 진리라고 본다. 그리하여 다른것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산속에 들어가서 홀로 수행을 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도교랑 비슷하지만, 도교가 아무것도 생기지 않은 바로 그자리를 깨달음으로 본다면, 불교는 만물이 비록 있지만, 그 만물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자연의 흐름과 함께 흘러가는 그러한 자리를 깨달음의 자리라고 본다.

유교는 황극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만물이 태어나고 어머니, 아버지가 있고, 왕과 백성이 있고, 후배와 선배가 있고, 동생과 형,누나가 있다. 이러한 자리에서 불교와 도교처럼 모든것을 버리고 홀로 떠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만물의 조화속에서 자기 자신도 조화의 흐름을 타고 흘러가는 것이 깨달음의 자리라고 유교는 보고 있다. 마치 축구장에서 선수들에 의해 원만히 움직이는 축구공처럼, 아들로써의 역할, 학생으로써의 역할, 형으로써의 역할, 친구로써의 역할 등 여러가지의 만물속의 자기의 역할이 주어진 가운데에서 모든것의 가운데에 서서, 한마디로 다른곳으로 튀어나가는게 아니라 중심에서 자신의 현실속의 역할을 잘 수행해나가면서 사는것이 바로 깨달음의 자리로 보고 있다. 유교는 현실속의 도덕을 중시하기 때문에 우리민족의 생활종교로 자연스럽게 흡수된 것이다.

기독교또한 무극을 설명하는 철학이다. 다만, 도교의 무극과 다르다. 기독교는 자기자신의 수행보다 우주의 절대자에 의한 깨달음을 중시한다. 기독교의 핵심교리는 신의 힘으로 시련을 극복하고 후천세계를 열어가는 것이다. 기독교에서는 모든것의 관점을 신으로 보기 때문에 깨달음도 신에게 있고, 바탕자리도 신에게 있다고 한다. 그렇기에 기독교는 바탕자리 무극의 신에 의해서 깨달음을 얻어서 후천으로 나아가자는 것이 바로 무극을 뜻하는 것이다. 다른 종교와 달리 신에 관한 능동적이 아닌 수동적 깨달음을 추구함으로써 비록 스스로가 얻는게 아니지만, 기독교에서 바탕자리, 무극으로 보는 신에 의한 깨달음이기 때문에 기독교의 철학은 무극의 철학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깨달음을 얻는 대상은 같으나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도교에서는 0무극, 즉 우주의 태어나기 전의 0에서 깨달음을 얻고 기독교에서는 모든것의 완성, 즉 바탕자리의 끝인 10무극(10은 최대분열수이다)의 신에 의해서 깨달음을 얻기 때문에 각각 0무극, 10무극이 된다.

 1. 과학적인 머리는 무극과 태극을 구분할 수 없어.

무극이라느 것은 형이 분열의 궁극에 가서 완전히 파괴가 되고 새로운 형을 준비하는 단계야.. 개벽이 벌어진 시점이지...?

태극이라는 것은 그렇게 해서 새로 만들어진 형이 통일이 완성되어서 다시 분열을 할 수 있는 준비가 된 단계야.

사실 무극과 태극이라는 것은 외적인 변형이 아니라.. (물론 없지야 않겠지만) 질적일 변화에 가까워. 과학은 질적인 것을 상대하지 않으므로 알 수 없는거야.

도가 수행자가 추구하는 마음과 불교 수행자가 추구하는 마음이라는 것은 그게 같은가..? 마음이라는 것은 질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외적인 관찰로는 알 수 없다는 거야.

논리적인 시공의 틀에서는 이해가 되는데..

정신적인 영역에서 그게 왜 이해가 안될까.

그것은 우주변화원리를 하준이 너가 체험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논리적으로 외적으로만 이해하기 때문이지.

우주변화원리 책이 있다고 했으니까.. p 357쪽을 보자.

불교의 목적을 한마디로 말한다면 空의 항존처를 찾기 위함이고 공에서 항존할 수 있는 至高至明한 인간을 창조하려는데 있다. 그렇다면 공의 모습은 어떠한 것인가?? 그것은 지신지무한 존재이므로 있는 듯 없는 듯한 적멸寂滅의 진경眞境인 것이다. 그런즉 이 경지는 유일한 신이 명화하고 있는 충화의 경지이므로 세속적 색채가 감히 병존할 수 없는 것이다. ... 이 경지에 달하는 것은 성불이라고 하는 것이다.

.... 그런즉 여기에서 다시 불교의 목적을 종합하여 보면 세속적인 육체 생활을 초월하고 대각을 이룸으로써 空으로 돌아가서 명을 찾으려는 것이다. 불교는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속세를 도피하고 空에 한거하면서 崇德을 하려는 것이다.

--> 나머지는 다음 참고 정신론-우주변화의 원..>


조회 수 :
302
등록일 :
2008.09.15
16:13:3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26/294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70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1 2020-02-19
공지 불교가 전한 개벽소식 총정리, 미륵부처님께 귀의하라, 그 분은 동방땅에 오신다 file 태일[太一] 193 2020-04-26
9 예수 그리스도라는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했는가? file 맑은바람 208 2008-09-15
예수 그리스도라는 명칭은 어디에서 유래했는가? 2000년 01월 27일 어원연구에서 밝혀낸 진실 지금에 이르러서 신화상의 존재일 뿐 역사상 실존 인물은 아니라고 믿고 있는 '제우스 파테라스'라는 이름은 인도어 '디아우스 피타르'로부터 따온 것이다. 디아우...  
8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3) file 맑은바람 148 2008-09-15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3) 8. 인류 역사를 보는 성경과 과학의 상이한 입장 1> 성경에 근거한 해석 성경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는 이들은 인류의 역사를 6000년이라고 단정합니다. 이에 대한 근거는 '아담'이 130세에 아들인 '셋'을 낳고, '셋'은 105세 때 '...  
7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2) file 맑은바람 117 2008-09-15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2) 5. 예수의 혈통 1> 성서상의 기록고찰 마태복음 1장에서는 예수가 태어날 때까지 아브라함으로부터 다윗까지가 14대요, 다윗부터 이스라엘 민족이 바벨론으로 이주하는 중에 태어난 여고냐까지 14대요, 여고냐로부터 예수까지가 1...  
6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1) file 맑은바람 128 2008-09-15
생각하며 읽는 성경이야기 (1) 이 글은 다음과 같은 분들을 위해 쓰여졌습니다. 첫째, 성경을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비난만 일삼는 비종교인 및 타 종교인들 둘째, 성경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실천하기를 원하는 깨어있는 신앙인들 셋째, 성경에 대해 한치의 ...  
5 [유가道通-3] 중용과 사상체질의 관계. 맑은바람 162 2008-09-15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기운 좋다.” 하시니라. 또 말씀하시기를 “다리 아프다고 꼭 오그리고 앉아 있으면 못쓰고 자꾸 걸어봐야 하며, 일은 해 봐야 하고, 무서워서 못 하는 것은 장부(臟腑)가 작아서 그러느니라. 내 목숨을 생각지 않아야 큰일을 하는 ...  
4 [유가道通-2] 유교 심법 더이상이 없다. 맑은바람 172 2008-09-15
*상제님께서 하루는 공사를 보시며 글을 쓰시니 이러하니라. 不受偏愛偏惡曰仁이요 不受全是全非曰義요, 不受專强專便曰禮요 不受恣聰恣明曰智요, 不受濫物濫欲曰信이라 치우치게 사랑하고 미워하지 아니함이 참된 어짊(仁)이며, 모두 옳고 모두 그르다는 말...  
3 [유가道通-1] 性情의 원리와 感通의 경계. 맑은바람 221 2008-09-15
情與性相對. 情者性之動也, 在心裏面, 未發的是性. 事物觸著, 便發動出來底, 是情. 寂然不動, 是性. 感而遂通, 是情. 這動底, 此是就性中發出來, 不是別物. 其大目, 卽爲喜怒哀懼愛惡欲七者. 孟子又指惻隱, 羞惡, 辭讓, 是非, 四端而言, 大底都是情. 性中有仁...  
2 삼조 승찬대사의 신심명강설 맑은바람 138 2008-09-15
삼조 승찬대사의 신심명강설 신심명 강설(信心銘講說) 三祖 僧璨大師 1.지극한 도는 어렵지 않음이요 오직 간택함을 꺼릴 뿐이니 至道無難이요 唯嫌揀擇이니 지도무난 유혐간택 지극한 도(道)란 곧 무상대도(無上大道)를 말합니다. 이 무상 대도는 전혀 어려...  
1 일심(一心)이란 무엇인가 맑은바람 123 2008-09-15
일심(一心)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일심에 대한 의식에 도달하게 된 계기가 자아에 대한 물음, ‘나는 누구인가’의 문제에서 출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오랜 시간 천착해온 자아에 대한 사유의 궁극적인 결론을, 저자는 원효의 일심사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