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이치(理)를 거스름은 곧 스스로 마음속 하늘을 속이는 것이니 이는 하늘에 있는 하늘을 속이는 것이니라.화(禍)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요 죄가 제 몸에 미친 것이니라.
    - 증산도 도전2:90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유불선[儒.佛.仙]철학과 종교

멋스런 가을 이미지~

일심(一心)이란 무엇인가

 저자는 본론에 들어가기에 앞서 일심에 대한 의식에 도달하게 된 계기가 자아에 대한 물음, ‘나는 누구인가’의 문제에서 출발한다고 밝히고 있다. 오랜 시간 천착해온 자아에 대한 사유의 궁극적인 결론을, 저자는 원효의 일심사상에서 발견한 것이다.
 한국 불교사에서 가장 위대한 고승의 한 사람으로 추앙받고 있는 원효는, 왕실 신앙을 중심으로 궁궐의 대사원에 살면서 귀족생활을 누리던 당시 승려들의 폐습을 버리고 파계승, 거사의 차림으로 통일(후)신라를 전후한 격동의 시대에 서민 대중과 고통받는 하층민, 정복지역의 유민들까지 뜨겁게 껴안으며 불교의 대중화와 중생 제도를 위해 전국을 누비고 다닌 민중의 성자였다. 이러한 제도의 와중에도 방대한 저작활동에 힘써 한민족의 정신과 한국 사상사의 첫새벽을 열어 놓은 위대한 사상가로 평가받는 원효의 사상은 크게 세 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일심이 만물의 중추이며 일심에 달하는 것이 곧 열반이라는 일심사상과 어느 한 종파에 치우치지 않고 대승불교의 모든 종파를 하나로 통효(通曉)하는 조화사상인 화쟁사상, 부처와 중생을 둘로 보지 않고 중생의 마음에 철저한 자유가 내재되어 걸림이 없다는 무애사상 등이 그것으로 일심, 화쟁, 무애의 사상은 결국 모두가 ‘하나’라는 구심점을 향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저자는 자아를 찾아 나가는 길에서 마주치게 되는 것은 자아의 없음, 무아(無我)의 발견이며 그 무아의 깨달음이 곧 원효가 논하는 일심의 깨달음이라고 이야기한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해답을 찾기 위해 모든 것을 철저하게 들여다보고 지워나가다 보면 결국 ‘나’라는 고유성, 자아를 규정할 수 없다는 공성(空性)의 자각에 부딪히게 된다2).

이러한 공(空)의 자기의식이 바로 일심이다.

아(我)뿐만 아니라 법(法)도 존재하지 않으며 있는 것은 오직 신이고 일심일 뿐이다.

인간 자체가 곧 일심인 것이다.

아와 법, 나와 너, 주와 객을 구분짓는 일체의 경계가 무아의 깨달음 속에서 사라질 때, 그것이 바로 일심이 모습을 드러내는 경계이다.

저자는 이러한 일심의 통찰이 모든 형이상학적 사유의 본질이라는 것, 불교와 유가사상 뿐 아니라 서구 형이상학에 있어서도 일심의 다른 이름인 무한과 절대의 사유가 철학의 핵심이었다고 이야기한다. 이제 저자가 일심, 무아의 결론에 도달하는 배경이 된, ‘유식무경’으로 요약될 수 있는 불교 유식철학의 세계관을 살펴보자.

조회 수 :
123
등록일 :
2008.09.15
15:56:0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26/293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날짜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27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294 2020-02-19
공지 불교가 전한 개벽소식 총정리, 미륵부처님께 귀의하라, 그 분은 동방땅에 오신다 file 태일[太一] 191 2020-04-26
9 유교.도교 동학 본질의 왜곡 태일[太一] 293 2008-11-08
최수운은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에서 ‘하날님, 한울님, 천주님, 상제님’등의 호칭을 번갈아 쓰면서 이 우주를 주재하시는 인격적인 존재를 말하였다. 최수운은 자신이 동학을 창도하게 된 것이 자신의 개인적인 사고와 노력의 결정이 아니라고 밝혔다. 놀랍게도...  
8 기독교 [기독교] 인류의 구원과 하나님의 지상강세 file 태일[太一] 293 2008-11-09
우리에게 기름을 부으신 이는 하느님이시니 저가 또한 우리에게 인(印)치시고 보증으로 성령을 마음에 주셨느니라.(「고린도후서」 1:21~22) 기독교에서는 인격적인 절대자(하느님)의 성령의 인(印)침을 받아야 인간으로 생겨날 수 있으며 또한 천지와 일월이...  
7 불교, 선도, 기독교의 철학적 차이 맑은바람 302 2008-09-15
---------[ 받은 메일 내용 ]---------- 제목 : 여전히 꼬인 지식   1. 아직도 불교와 도교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구분할 수 없겠어. 좀 다르지만 서로 비슷한 거 같아. 2. 기독교와 도교가 각각 0무극과 10무극이라고 하는데 정확한 설명을 못하겠어. 이 두...  
6 불교를 바로 알면 file 태일[太一] 314 2008-11-08
불교를 바로 알면 "미륵"을 만난다! 신앙은 교조의 뜻을 올바로 받들고 닦아 깨우침을 얻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신앙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기도의 힘을 빌린다. 그러나 교조의 정신을 잘못 받들면 '물 속에 잔디를 심어놓고 정성을 드리는 ...  
5 유교.도교 유교와 상제 문화 file 태일[太一] 353 2008-11-09
처음 중국의 상제문화에서는 우리 민족의 신교문화의 개념을 그대로 이어받아 살아계신 하늘의 최고신 하느님 개념을 갖고 하늘에 제사 드리는 국가 제례사가 정립된다. 그리고 중국의 당송대로 내려오면서, 옥황과 상제가 통합되어, 옥황상제는 천상 신명계...  
4 성경과 예수의 진실이 무너졌다! file 태일[太一] 411 2012-12-31
성경과 예수의 진실이 무너졌다! ★ 성경(Bible)은 언제, 어떻게 쓰여졌는가? ★ 성경(Bible)의 제작 과정 및 초창기 문서들 ★ 성경(Bible)의 역사적 한계와 문제점 ★ 예수의 진짜 생일은 12월 25일이 아니다. ★ 기독교 삼위일체(三位一體)의 역사 과정 ★ 성경(B...  
3 유교.도교 도교와 옥황상제님 태일[太一] 412 2008-11-09
중국 도교의 근원은 치우천황 대에 자부선생(紫府先生)으로부터 황제헌원에게 전해지면서 중국에 퍼지게 된다. 도교에서 모시는 옥황상제는 도의 최고 관념 지고신(至高神)으로 모시며, 유일 최고신의 지배하에 몇 단계를 이루고 있는 다신이 신앙된다. 이는 ...  
2 불교 미래의 부처, 미륵불의 출세 file 태일[太一] 421 2008-11-09
"그 때에 부처가 세상에 출현하리니 이름을 '미륵’ 이라 하리라." <長阿含轉輪聖王經> 앞서 남사고는 석가 입멸 후 약 3천 년 후에 미륵부처님이 천상의 도솔천에서 지상으로 내려오실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하지만 그는 미륵이 출세하더라도 기성종교의 묵...  
1 유교.도교 열자가 말하는 우주와 인생 file 태일[太一] 914 2008-11-08
아마 동양의 철인 가운데 열자, 장자만큼 입담이 좋은 이도 드물 것이다. 이들은 우주조화의 현묘지도를 은유와 상징이 담긴 실로 폭잡기 어려운 여러 가지 우화형식을 빌어 전했는데, 이러한 표현방식 때문에 아직까지도 그 철학적 내용이 완전히 정립되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