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사람마다 그 닦은 바와 기국(器局)에 따라서 그 임무를 감당할 만한 신명이 호위하여 있나니 만일 남의 자격과 공부만 추앙하고 부러워하여 제 일에 게으른 마음을 품으면 신명들이 그에게로 옮겨 가느니라.못났다고 자포자기하지 말라. 보호신도 떠나느니라
    - 증산도 도전4:154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동서양문화의 뿌리 신교문화
상과 수[2]

 

동양에 있어서의 철학의 방향은 통일적

동양철학은 서양철학과 달리 상과 형을 동시에 파악합니다. 그러나, 상을 체(體)로 하고 형을 용(用)으로 합니다. 그러므로 만물을 통시적으로 바라볼 수 있습니다.

 

음양

오행

형이상(形而上)

五行氣

형이하(形而下)

만물

 

동양에 있어서의 철학의 방향은 단적이 아니며 통일적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동양철학은 서양철학에 있어서처럼 그의 원질(原質)을 어떤 낱개의 물질이나 성질(性質)에서 찾으려는 것이 아니고 반대로 통일된 形과 象에서 찾으려는 것이다. 즉 통일된 매개의 우주에서 찾아내려는 것이다. (『우주변화의 원리』 56쪽)

 

1905년에 아이슈타인(Einstein)은 ‘E=mc2’ 이라는 방정식을 발표하고 다음과 같은 말을 하면서 물질과 에너지는 같다는 것을 증명하였습니다. “물질과 에너지는 본래 동일한 것이었는데 그것이 다만 형상을 바꾼 것뿐이다. 그러므로 물질이 소멸할 때는 눈에 보이지 않는 에너지로 변화하는 것이다(『우주변화의 원리』232쪽).” 이렇게 만물은 공즉시색(空卽是色) 색즉시공(色卽是空)하면서 물질(陰)과 에너지(陽)의 모습을 동시에 가지고 있습니다. 이 둘을 함께 파악해야만 정확히 사물의 실체를 파악하게 되는 것입니다.

 

무가 변했을 때, 우주가 탄생했다. 有는 無가 변한 것이다. (우주의 구멍 29쪽)

 

변화하는 대자연의 本質을 관찰하여 보면 이것은 형(形)도 기(氣)도 아닌 것으로서 다만 분열과 종합을 영원히 반복하고 있는 우주변화의 일대환상에 불과한 것이므로 그 運動하는 모습에는 영원한 항구(恒久)란 있을 수가 없고 다만 감응과 항구가 반복하는 것뿐이라는 것을 직관하고 움직이기는 自然 그대로, 다시 말하면 그러한 自然을 측정하며 또한 탐색하기에 가장 알맞게 定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주변화의 원리』 61쪽)

조회 수 :
557
등록일 :
2008.09.15
19:57:00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25/291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27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294
22 히스토리 채널 파티마의 제3의 비밀 동영상 file 태일[太一] 162
21 요한계시록에 기록된 전 지구상에 임하게 될 엄청난 대재앙 예언들 file 태일[太一] 172
20 하늘 땅 인간의 조화, 유라시아 유목문화 file 태일[太一] 209
19 제천문화, 인류 창세역사를 열다 file 태일[太一] 215
18 [동양학 칼럼] 하늘의 뜻은 땅에서 이루어진다 file 태일[太一] 257
17 새로운 시대를 예고한 한민족의 위대한 예언 - 격암 남사고 file 태일[太一] 270
16 서양 과학주의의 한계 맑은바람 314
15 주역칼럼 | 세상을 아름답게 하고 복을 내리는 덕목, 겸손 file 태일[太一] 339
14 종교(religion)란? 맑은바람 342
13 풍수와 오행의 관계 맑은바람 366
12 역사속의 하느님 문화 file 태일[太一] 421
11 음양오행과 동양사상의 근본원리에 대해 알아볼까요? 맑은바람 470
10 북두칠성이야기 맑은바람 521
9 ▶중국의 노스트라다무스 '유백온'의 3대 예언, 소병가, 금릉탑비문, 섬서태백산유백온비 file 태일[太一] 550
» 상과 수[2]-동양에 있어서의 철학의 방향은 통일 맑은바람 557
7 노자가 말한 생명의 도 file 태일[太一] 560
6 TV테마특강 - 동양사상과 자녀교육 1부, 2부 태일[太一] 581
5 역철학의 아버지, 태호복희 file 태일[太一] 602
4 동양 철학 맑은바람 624
3 상과 수[1]-동양철학과 서양철학의 차이점 맑은바람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