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하늘은 이치(理)이니라.밝고 밝은 하늘이 사람 마음속 하늘과 부합하니 이치(理)는 하늘에 근원을 두고 사람의 마음에 갖춰져 있느니라
    - 증산도 도전2:90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동북공정과 식민사관, 역사왜곡

한민족 신교神敎 문화의 3대 경전

 

경 전 내 용

천부경天符經

 

일명

조화경造化經

<천부경>은 천天의 주재자이신 상제님이 내려주신, 신교문화 최초의 경전이다. 환국 시절에는 구전되어 오다가 배달과 고조선 시대에 문자로 표기되어 현재 총 81자로 전한다.

 

'천부天符'는 '하늘의 섭리를 나타낸 부호' 라는 뜻이다. 따라서 <천부경>은 인간에게 하늘의 이치와 법칙을 드러내고, 하늘의 꿈을 전하는 경전이다. 한마디로 하나님의 계시록이다.

 

환국의 마지막 환인천제에게 이 천부의 신권神權을 상징하는 천부인天符印을 받고 마침내 백두산에서 배달은 연 분이 바로 초대 巨發桓 환웅이다.

삼일신고

三一神誥

 

일명

교화경敎化經

<삼일신고>는 신교의 세계관과 신관의 정수를 요약한 경전이다. 환웅천왕께서 환국에서 전수된 <천부경>을 바탕으로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해 진리의 핵심을 풀어 가르친 것이다.

 

366자로 구성된 <삼일신고>는 집일함삼執一含三과 회삼귀일會三歸一의 뜻을 근본정신으로 삼고 있다.

 

인간과 만물은 삼신상제님의 조화로 생겨났음을 밝혀준다. 또한 인간이 본성에 통하여 삼신의 공덕을 완수하고 우주 역사의 이상을 실현하는 태일太一 인간으로 거듭나는 길을 밝히고 있다.

참전계경

參佺戒經

 

일명

치화경治化經)

고구려 9세 고국천열제 때의 명재상 을파소가 백운산白雲山에서 기도하여 하늘로부터 강령을 받아 기록한 경전이다.

 

8가지 조목[정성(誠), 믿음(信), 사랑(愛), 선제(濟), 재화(禍), 홍복(福), 보은(報), 응보(應)과 그에 대한 366절목節目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을파소 자신은 [태백일사]<소도경전본훈>에서 "신시 환웅 시대 때 이미 참전계로써 교화대행敎化大行하였다" 라고 하였다.

 

'참전參佺' 이란 사람으로서 천지와 온전하게 하나 됨을 꾀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참전계參佺戒'란 사람이 하늘과 하나 되어 완전한 인간(佺 = 人 + 全)이 되기 위해 지키고 연마해야 할 계율" 이라는 말이다.


조회 수 :
274
등록일 :
2012.12.27
00:44:15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21/2801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56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24
26 [조용헌 살롱] 새만금과 천년왕국설(千年王國說) 맑은바람 253
25 삼한관경의 와해와 쇠망 file 태일[太一] 258
24 삼신상제님은 어떤분인가? file 태일[太一] 264
23 한민족을 지켜온 정신, 낭가郎家 file 태일[太一] 269
» 한민족 신교神敎 문화의 3대 경전 file 태일[太一] 274
21 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file 태일[太一] 278
20 풀리지 않는 예언 궁을가를 풀다 맑은바람 283
19 안파견 환인의 1천년 수명, 어떻게 볼 것인가? file 태일[太一] 287
18 고조선과 북방 민족 간의 관계 file 태일[太一] 287
17 한민족의 신교문화 file 태일[太一] 300
16 생활속에 내려오는 개벽이야기 file 태일[太一] 310
15 삼족오에 숨어있는 한민족의 역사정신과 철학 file 태일[太一] 311
14 하늘보다 큰, “단군세기 서문” 강독 file 태일[太一] 332
13 가림토문자와 우주변화의 원리(제2부) file 태일[太一] 332
12 『진인도통연계(眞人道通聯系)』 file 진리의 빛 333
11 30여년 집필 ‘환단고기 역주본’ 펴낸 안경전 증산도 종도사 file 태일[太一] 350
10 한민족 옛 제국 9고구려의 역사 file 태일[太一] 360
9 미륵의 세상, 미륵의 일꾼을 꿈꾸며 file 태일[太一] 362
8 삼신三神신앙과 삼신三神상제님 file 태일[太一] 366
7 신교의 제천 의식 (제사문화) 자취 file 태일[太一] 3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