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일심이 없으면 우주도 없느니라.일심으로 믿는 자라야 새 생명을 얻으리라. 너희들은 오직 일심을 가지라.일심으로 정성을 다하면 오만년의 운수를 받으리라.
    - 증산도 도전2:91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동북공정과 식민사관, 역사왜곡

환단고기 역주본 출간의 의미

images

 

* 이번 ?환단고기? 역주본이 출간된 가장 큰 의미는, 인류가 잃어버린 원형 문화와 창세 역사를 회복하고, 앞으로 열릴 새문화의 틀을 알 수 있게 된 것이다. 인류사의 과거와 미래를 통관시켜 주는 새로운 역사관, 대한사관을 세운게 된 것이다.

 

* 지금까지 우리가 배운 역사관은, 근대의 과학주의가 발흥하면서 성립된 것이다. 눈에 보이는 것만 역사의 진실로 받아들이는 과학주의 역사관인 실증주의 사관이다. 모든 역사책을 보면 발굴된 유물을 갖고 역사를 이야기 한다. 역사 첫 페이지에는 늘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라는 시대구분으로 틀을 짜 놓았다. 그 속에는 정신문화가 없다. 그때 그 사람들의 가치관을 알 수 없다. 그 시대 사람들이 자연에 대해서 무엇을 깨닫고, 어떤 생각을 하면서 살았는지 전혀 관심이 없다. 인간의 내면 세계, 인간의 정신 가치가 완전히 실종돼 버렸다. 인간 냄새가 나지 않는 죽은 역사학이다.

 

* 19세기 독일 사람 랑케에서 시작된 실증사학의 모토는 ‘본래 있었던 그대로’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것이 최대의 환상이다. 시간이 흘러가면 형상이 있는 것은 다 무너지고 희석되고 사라진다. 그렇건만 구사학은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본다는, 순수 객관주의를 지향한다. 20세기 초엽에 발발한 1, 2차 세계 대전은 역사학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역사가가 적극적으로 해석하는 새로운 역사학, 신사학이 대두한 것이다. 즉, 자기의 필요 조건, 이해득실에 따라 사건 현장에 개입해서 역사를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주관주의의 성격을 갖는 신사학은 헤겔을 원 시조로 한다. 그리고 ‘모든 진정한 역사는 현재의 역사다.’라고 한 크로체를 충직하게 계승하여 ‘모든 역사는 사상의 역사이다.’라고 한 콜링우드로 그 맥이 이어진다.

 

* 구사학, 즉 실증주의, 과학주의 역사학은 객관주의를 지나치게 지향하다 보니 인류의 정신문화를 외면하고, 그것을 묻어버리는 결과를 가져 왔다. 어찌 보면 그것은 일종의 중대한 범죄다. 랑케가 선언한 역사관에는 이미 자기 학문의 파국과 종말의 업보를 안고 있었던 것이다. 신사학 역시도 주관주의, 지식의 상대주의에 빠져 궤변 아닌 궤변으로 치달아 역사의 진실을 잃어버릴 수밖에 없었다. 저마다 역사를 보는 안목이 달라 너무도 다르게 역사 해석을 하게 된 것이다.

 

* 80년대 이후, 지구촌이 하나의 보편 문화, 통일 문화권을 지향하면서 인류는 새로운 역사관이 출현하기를 바라고 기다려 왔다. 자연이 병들어 생태계에 엄청난 변혁이 생기면서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정립할 새로운 역사관이 절실해진 것이다. 지금은 역사의 틀을 미시적으로 한쪽으로만 깊이 파고드는 것보다, 그 영역을 넓혀서 정치, 경제, 문화, 의식주 생활 문화, 또 자연 환경, 이 모두를 총체적으로 아우를 수 있는 역사관의 출현이 필요한 것이다. 그것이 바로 『환단고기』에서 밝히는 천지의 광명사관이요, 환단의 역사관인, 대한사관이다.

 

*『환단고기』에는 우주가 살아있는 삼신임을 밝히고 있다. 하늘·땅·인간, 우주 삼재三才가 삼신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늘, 땅, 인간이 모두 삼신이다. 인간이 신적인 존재다. 우주에서 가장 존귀하고 숭고한 신적인 존재가 바로 인간이다. 아무리 어리고, 못 배우고, 인간 악종이라 할지라도 그 본질은 우주 조물주의 신성을 그대로 지니고 있다. 대우주 광명을 다 가지고 있다. 우리가 이것을 깨달아야 인간을 진정으로 이해하고 사랑할 수 있다.


* 그동안 참으로 어려운 고난을 이겨내면서 여기까지 왔다. 그 과정에 태상종도사님께서 항상 내 곁에 함께 하셨다. 지금도 태상종도사님께 아침, 점심, 저녁 상을 차려드리면 흰 옷을 입고 앉으셔서 식사를 하신다. 오늘 아침 태사부님께서 식사하실 때 내가 아랫방에 내려가 “이제 작업을 마쳤어요. 오늘 다 끝났어요.”라고 고하고 마지막 원고를 넘겼다. 그리고 마당에 나갔다. 햇빛이 그렇게 밝고 투명했다. 그래서 만세를 불렀다.『환단고기』를 전해주신 분들의 이름을 부르면서 만세를 불렀다.

 

* 이제 우리 문화와 역사를 제대로 볼 수 있는 진정한 역사 교과서가 나왔다. 이 역주본은 『환단고기』를 제대로 읽을 수 있는, 『환단고기』의 본래 면목을 밝히는 유일한 책이다. 지금까지 20여종의 훌륭한 『환단고기』책이 나왔지만, 진면목을 밝힐 수 없었다. 『환단고기』는 10년, 20년 작업해서 나올 수 있는 책이 아니다. 이 역주본은 『환단고기』의 근본정신을 완전히 뚫어 꿰서 세상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수없이 가다듬어져 나온 책이다. 우리가 한민족의 잃어버린 문화와 역사를 되찾는 전령자로서, 뜨거운 마음을 갖고 우리 문화, 역사의 진실을 담은 『환단고기』주변에 전해주자. 우리가 우선 7천만 모든 한국인에게 이 『환단고기』를 전해야 한다.

- 2012.8.11 한민족 역사광복 출정식 종도사님 말씀

조회 수 :
195
등록일 :
2012.12.25
17:40:3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21/2768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69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1 2020-02-19
26 인류최초의 나라, 환국 file 태일[太一] 175 2012-12-27
현생 인류의 아버지 어머니‘, 나반’과‘ 아만’ 사람은 누구나 어느 종교를 믿고 어떤 분야에서 일하든지 인류의 기원에 대한 호기심과 의문을 안고 살아간다. 최초의 인류는‘ 루시’라 이름 붙인 화석인류가 발견됨으로써 밝혀진 약 350만 년 전의 오스트랄로피...  
25 한민족 최초의 국가, 배달 file 태일[太一] 144 2012-12-27
거발환 환웅의 건국 지금으로부터 6천 년 전, 기후변동으로 환족의 일부가 근동으로 이주하여 수메르문명을 개척하고 있을 때 환족의 다른 한 갈래가 동방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인류의 첫 나라 환국 속에 구환족이 모두 통일되어 있던 시대가 끝나고, 나비의 ...  
24 배달겨레, ‘동이東夷’ file 태일[太一] 135 2012-12-27
배달겨레, ‘동이東夷’ 고대 동북아에서 수천 년 동안 위엄을 떨친 치우천황은 우리 역사에 또 다른 자취를 남겼다. 치우천황이 큰 활을 만들어 쓴 이래 중국인들이 동방 배달민족을 동이東夷라 부르게 된 것이다. 동이의‘ 이夷’는 자전字典에서‘ 큰 활을 잘 쏘...  
23 한민족의 전성기, 고조선 file 태일[太一] 152 2012-12-27
단군왕검이 건국한 고조선 초대 환웅이 배달을 개국한 지 1,500여 년, 18세 환웅에 이르러 배달은 그 역사의 막을 내리게 된다. 말기의 쇠한 국운을 보여주듯, 마지막 세 환웅은 역대 천황의 평균 수명에 못 미치는 짧은 생을 살았다.52) 특히 18세 거불단환...  
22 고조선과 북방 민족 간의 관계 file 태일[太一] 287 2012-12-27
고조선과 북방 민족 간의 관계 ⊙ 고조선과 흉노족 『단군세기』에는 고조선과 북방 민족 간의 관계를 알려 주는 귀중한 기록들이 있다. 3세 가륵단군 6년(BCE 2177) 조에 나오는“ 임금께서 열양 욕살 삭정索靖을 약수弱水 지방에 유배시켜 종신토록 감옥에 가...  
21 고조선의 찬란한 문화 file 태일[太一] 232 2012-12-27
찬란한 청동기 문명을 꽃피운 고조선 현재 한국의 주류 사학계는 한국의 청동기 시대가 기껏해야 BCE 1300년을 거슬러 올라가지 못한다고 본다.68) 그러나 고조선은 나라가 막 세워진 BCE 24세기에 벌써 고도의 청동기 문명을 꽃피운 나라이다. 주류 사학계의...  
20 삼한관경의 와해와 쇠망 file 태일[太一] 258 2012-12-27
삼한관경의 와해 동북아의 천자 나라로 발전을 거듭하던 고조선은 21세 소태단군 말기 무렵, 개국 이후 첫 번째 국가 위기상황을 맞이하였다. 국가 운영의 근간인 삼한관경제가 큰 타격을 받았기 때문이다. 상나라 정벌에 공을 세운 개사원 지역의 욕살褥薩(지...  
19 잃어버린 고리, 북부여 file 태일[太一] 250 2012-12-27
북부여의 건국 대단군의 통치권이 약화되고 부단군과 지방 군장들의 목소리가 커지던 고조선 말기에 한민족의 새 역사를 개창한 분이 바로 북부여를 건국한 해모수이다. 해모수는 요하 상류에 위치한 고조선의 제후국인 고리국 출신으로 BCE 239년 웅심산(지금...  
18 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file 태일[太一] 278 2012-12-27
북부여를 계승한 고구려 북부여는 비록 고조선을 계승하였지만, 고조선의 전 영역을 흡수하지는 못하였다. 그리하여 열국列國의 분열시대가 시작되어 고조선의 옛 영토에는 북부여, 동부여, 서부여, 낙랑국, 남삼한, 옥저, 동예 등의 여러 나라가 형성되었다. ...  
17 대진국과 그 이후 file 태일[太一] 242 2012-12-27
고구려를 이은 대진국과 그 이후 백제는 나중에 신라에 병합되었고(CE 660), 고구려는 나당 연합군에게 망한 후(CE 668) 유장遺將 대중상과 그 아들 대조영이 세운 대진국으로 이어졌다. 고구려가 망할 때 고구려의 유장 대중상이 동쪽으로 동모산에 이르러 성...  
16 한민족의 신교문화 file 태일[太一] 300 2012-12-27
신교 문화란 무엇인가? 국유현묘지도國有玄妙之道 하니 왈풍류曰風流라(나라에 지극히 신령스러운 도가 있으니, 이를 풍류라 한다). 이 문구는 신라 때 최치원이 쓴 「난랑비서鸞郞碑序」의 첫 구절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풍류風流의 본래 이름이 바로 한민족...  
15 삼신상제님은 어떤분인가? file 태일[太一] 264 2012-12-27
그렇다면, 삼신상제라 불리우던 분은 과연 어떤 분이셨을까요? 신교는 우주의 주재자를 삼신상제님 이라고 불러왔습니다. 인류 문명의 시원 민족인 우리 한민족의 조상이 약 1만년 동안 섬겨온 신앙의 핵심 대상은 삼신상제(三神上帝)님 이십니다. 이 삼신(三...  
14 한민족 신교神敎 문화의 3대 경전 file 태일[太一] 274 2012-12-27
한민족 신교神敎 문화의 3대 경전 경 전 내 용 천부경天符經 일명 조화경造化經 <천부경>은 천天의 주재자이신 상제님이 내려주신, 신교문화 최초의 경전이다. 환국 시절에는 구전되어 오다가 배달과 고조선 시대에 문자로 표기되어 현재 총 81자로 전한다. '...  
13 한민족을 지켜온 정신, 낭가郎家 file 태일[太一] 269 2012-12-27
한민족을 지켜온 정신, 낭가郎家    얼마 전 신문에 충격적인 기사가 실렸다. 한·중·일 청소년 의식조사 결과, 우리나라에서 전쟁이 나면 앞장서서 싸우겠다는 청소년이 10명당 1명밖에 안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일본의 4분의 1에 불과한 것이었다. 나...  
12 삼신三神신앙과 삼신三神상제님 file 태일[太一] 366 2012-12-27
삼신三神신앙과 삼신三神상제님    이해영/ 서울 관악도장      나는 어디서 태어났나  요사이엔 아기를 낳을 때면 산부인과를 찾지만, 예전엔 동네에서 출산을 도운 경험이 많은 할머니를 집으로 불러들여 아이를 낳는 경우가 흔했다. 그런 할머니를 ...  
11 삼족오에 숨어있는 한민족의 역사정신과 철학 file 태일[太一] 311 2012-12-27
삼족오에 숨어있는 한민족의 역사정신과 철학   요즘 대하 역사드라마 〈주몽〉에 시청자들이 열광하고 있다. 고구려의 건국과정을 그린 〈주몽〉을 보면, 동부여의 신녀(神女) 여미을에게 ‘삼족오’가 나타나는 장면이 화면을 가득 채운다. 고구려 고분벽화...  
10 우리 민족의 칠성 신앙 file 태일[太一] 248 2012-12-27
우리 민족의 칠성 신앙 * 출처: 환단고기(http://www.hwandangogi.or.kr)  
9 미륵의 세상, 미륵의 일꾼을 꿈꾸며 file 태일[太一] 362 2012-12-27
미륵의 세상, 미륵의 일꾼을 꿈꾸며    “비나이다 비나이다. 미륵님! 칠성님!”    이것은 우리 부모, 조상 세대들이 우리들을 위해 ‘지성(至誠)이면 감천(感天)’이라는 믿음으로 두손 닳도록 간절히 하늘의 신(神)에게 빌며 기도했던 우리 민족의 전통적 ...  
8 신교의 제천 의식 (제사문화) 자취 file 태일[太一] 385 2012-12-27
신교의 제천 의식 (제사문화) 자취 신교의 의식(儀式)은 제천(祭天- 증산도에서 드리는 치성이 바로 제천 의식이다)의식입니다. 쉽게 말해 제사 지내는 문화입니다. 일반적으로 제사문화를 중국의 문화라고 위대한(?) 착각을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제사 지내...  
7 한민족의 저력을 밝혀줄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file 태일[太一] 538 2012-12-27
한민족의 저력을 밝혀줄 역사의 진실을 찾아서 월드컵 신화를 연 대한민국 대~한민국! 짝짝짝 짝 짝! 다시 월드컵의 계절이 돌아왔다. 우리는 지난 2002년 6월, 기적과 같은‘월드컵 4강 신화’를 달성하면서 한일월드컵을 성공적으로 치러냈다. 그로부터 8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