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하루는 태모님께서 반천무지(攀天撫地)의 사배(四拜)에 대해 말씀하시기를 "이것이 천지 절이다." 하시고 "천지를 받들 줄 알아야 하느니라." 하시니라. 이어 태모님께서 "내가 절하는 것을 잘 보라." 하시며 친히 절을 해 보이면서 말씀하시기를 "하늘 기운을 잡아 당겨 내 몸에 싣고, 땅 기운을 잡아 당겨 내 몸에 실어라." 하시니라
    - 증산도 도전11편:305장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지축정립과 ★ 극이동

'고창 AI 농장' 인근서 가창오리 떼죽음(종합)

오리농장 연관성 조사 중…방역당국 초긴장 상태 "떼죽음 원인 AI라면 강력한 바이러스…파장 커져" 연합뉴스 | 입력 2014.01.18 11:11 | 수정 2014.01.18 14:09

http://media.daum.net/society/newsview?newsid=20140118111106637

 

오리농장 연관성 조사 중…방역당국 초긴장 상태

"떼죽음 원인 AI라면 강력한 바이러스…파장 커져"

(전주=연합뉴스) 임청 백도인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 인근의 저수지에서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방역당국이 고병원성 AI 발생과의 연관성 조사에 들어갔다.

18일 전북도에 따르면 국립수의과학검역원에서 고병원성 AI 관련 역학조사를 벌이던 중 17일 오후 동림저수지에서 1천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무더기로 죽어 있는 것을 발견했다.

op6.jpg

↑ 고창 동림저수지 (고창=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 인근의 동림저수지. 동림저수지에서 1천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AI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4.1.18 kan@yna.co.kr

op5.jpg

↑ 고창 동림저수지의 철새떼 (고창=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 인근의 동림저수지에 철새떼가 노닐고 있다. 동림저수지에서 1천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AI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4.1.18 kan@yna.co.kr

op4.jpg

↑ (서울=연합뉴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Avian Influenza)가 전북 고창 오리 농가에서 발생한 가운데 가창오리떼의 분비물에 의한 전염 가능성이 1차적인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전북도는 AI가 발생한 농가의 인근에 저수지가 5곳이나 있고 특히 대표적 겨울철새 도래지인 동림저수지로부터 10여㎞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사진은 지난 6일 전북 고창군의 동림저수지를 찾은 수만마리의 가창오리떼. 2014.1.17 <<연합뉴스 DB>> photo@yna.co.kr

op3.jpg

↑ 대책 논의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방역대책상황실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전북 고창 종오리농장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 농식품부가 AI의 전국 확산을 막기 위해 강도 높은 방역조치에 들어간 가운데 17일 오후 정부세종청사 농림축산식품부 내 조류인플루엔자 방역대책상황실에서 관계 직원들이 지도를 보며 방역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2014.1.17 scoop@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f6464

op2.jpg

↑ 고창 동림저수지의 가창오리떼 (고창=연합뉴스) 최영수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 인근의 동림저수지 위를 가창오리떼가 날고 있다. 동림저수지에서 1천여마리의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AI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014.1.18 kan@yna.co.kr

op1.jpg

↑ <그래픽> '고창 AI 농장' 인근서 가창오리 떼죽음 (서울=연합뉴스) 장성구 기자 =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발생한 전북 고창 종오리 농장 인근의 저수지에서 가창오리가 떼죽음해 방역당국이 고병원성 AI 발생과의 연관성 조사에 들어갔다. sunggu@yna.co.kr @yonhap_graphics(트위터)

동림저수지와 고병원성 AI가 발생한 오리 농가와는 10㎞가량 떨어져 있다.

철새는 닭이나 오리보다 면역력이 강해 고병원성 AI에 감염되더라도 떼죽음한 사례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떼죽음의 원인이 만약 고병원성 AI라면 바이러스가 매우 강력할 가능성이 커 파장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들 가창오리떼의 이동 경로도 모두 고병원성 AI의 위험 반경에 들 수 있다.

가창오리들은 대부분 저수지 안에서 죽은 채 발견돼 농약 등으로 인한 떼죽음은 아니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은 죽은 가창오리 가운데 20여마리의 사체와 분변 등을 수거해 분석작업을 벌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확한 원인은 이르면 2~3일, 늦어도 7일 내에는 나올 것으로 보인다.

동림저수지는 먹이가 넉넉해 해마다 가창오리를 비롯한 겨울 철새 10만여마리가 찾는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여러 정황을 보면 강력한 고병원성 AI에 감염돼 떼죽음했을 가능성이 의심된다"며 "만약 고병원성 AI라면 면역력이 강한 철새가 죽을 정도로 강력한 바이러스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doin100@yna.co.kr

(끝)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70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1
공지 지구는 돌아올 수 없는 선(Tipping Point) 을 지났다. file 태일[太一] 169
24 인간의 치사율 60 % "H5N1가 인간 사이에 쉽게 감염이 가능해질 것이다 중대한 우려" file 태일[太一] 211
» '고창 AI 농장' 인근서 가창오리 떼죽음(종합) file 태일[太一] 32
22 아소산 화산폭발, 36년 만에 가장 큰 분화..현재 피해상황은? file 태일[太一] 54
21 [취재파일] 82일 만의 유엔 결의안..이제 북한발 변수가 시작된다 file 태일[太一] 28
20 미래예언/한국예언-북두성에 혜성이 범하면 임금이 바뀐다 -천문류초 file 태일[太一] 173
19 [우주과학] 미국의 원반형 비행체 개발 실체해부 file 태일[太一] 169
18 러시아가 눈이 부족해.. 모스크바 140년래 가장 따뜻한 겨울 file 태일[太一] 125
17 터키 동부서 규모 6.8 강진.."최소 22명 사망·1천200여명 부상"(종합4보) file 태일[太一] 121
16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 file 태일[太一] 145
15 中 '신종 코로나' 사망자 400명 돌파..확진자 2만명 넘어 '폭증' file 태일[太一] 120
14 [이상 현상] 빠르게 녹는 남극 '최후의 날 빙하'..따뜻한 물 발견 충격 file 태일[太一] 134
13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 file 태일[太一] 129
12 '남극의 눈물'..영상 20도 뜨거운 더위에 녹아버린 섬 file 태일[太一] 129
11 코로나 19 지금보다 훨씬 무서운 사태가 발생할수도... file 태일[太一] 131
10 中, 코로나19 역유입 막는다..한국발 승객 전용통로 설치 file 태일[太一] 132
9 코로나19, 겨울마다 오는 계절 전염병 될 수도 file 태일[太一] 125
8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file 태일[太一] 171
7 이탈리아 하루만에 사망자 250명 최대폭 증가..확진 1만7천660명 file 태일[太一] 167
6 우주인이 전하는 지구 극이동 file 태일[太一] 228
5 <불가사의>고대 거석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별모양의 드릴 구멍 file 태일[太一]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