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상제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보고자 하는 것은 반드시 볼 것이요, 익히 본 후에는 마음에 걸어 두지 말라.사물의 보고 들음이 마음에 걸려 있으면 복장(腹臟)에 음식이 걸림과 같으니라." 하시니라.
    - 증산도 도전9:217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지축정립과 ★ 극이동

주탄생 비밀의 열쇠 '별의 신생아실'

 

 

유럽우주국(ESA)이 6천200광년 떨어진 별의 신생아실에서 벌어지는 아기별의 탄생 장면을 포착했다.

NASA는 28일 홈페이지를 통해 ESA의 허셜 우주망원경으로 촬영된 거대한 신생 별들의 군락 'W3' 사진을 공개했다.

W3는 막 탄생한 별들의 집합소로 '별의 신생아실'로 불린다. 우리은하의 페르세우스암에 위치한다. 천문학자들은 저질량 항성과 고질량 항성이 밀집한 W3가 별의 탄생 비밀을 풀어줄 중요 단서로 보고 있다.

▲ ESA 허셜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W3(사진:NASA)
사진 속 W3는 무거운 별의 집단으로 마치 구름같은 형태의 모습이다. 이는 거대한 모습으로 탄생하는 별이다. 마치 가스 덩어리가 폭발하는 듯한 형태인데, 원재료들이 주위를 계속해서 움직이고 있다. 그리고 압축됐다가, 클러스터의 영향 하에 놓이면서 원시별로 변화하게 된다.

원시별의 강력한 발광과 바람, 성숙하지 않은 집단들을 통해 고질량 항성들이 구축될 수 있고, 수많은 시간을 보내면서 재료들이 제자리를 잡아 원숙한 별로 성장하게 된다.

[관련기사]
NASA, `우주 침략자` 발견?
NASA 차세대 우주망원경의 위용
NASA "화성 생명체 존재 가능성 높다"
NASA, 달에 모나리자 그림 전송...어떻게?

김우용 기자 (yong2@zdnet.co.kr)

조회 수 :
13
등록일 :
2013.03.31
18:13:52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17/2307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70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1
공지 지구는 돌아올 수 없는 선(Tipping Point) 을 지났다. file 태일[太一] 169
23 대만 첫 신종 조류독감 환자 발견 file 태일[太一] 104
22 中 '신종 코로나' 사망자 400명 돌파..확진자 2만명 넘어 '폭증' file 태일[太一] 120
21 터키 동부서 규모 6.8 강진.."최소 22명 사망·1천200여명 부상"(종합4보) file 태일[太一] 121
20 코로나19, 겨울마다 오는 계절 전염병 될 수도 file 태일[太一] 125
19 러시아가 눈이 부족해.. 모스크바 140년래 가장 따뜻한 겨울 file 태일[太一] 125
18 약 120억년 전 초기 우주서 별 만들기 멈춘 초대형 은하 관측 file 태일[太一] 129
17 '남극의 눈물'..영상 20도 뜨거운 더위에 녹아버린 섬 file 태일[太一] 129
16 코로나 19 지금보다 훨씬 무서운 사태가 발생할수도... file 태일[太一] 131
15 中, 코로나19 역유입 막는다..한국발 승객 전용통로 설치 file 태일[太一] 132
14 [이상 현상] 빠르게 녹는 남극 '최후의 날 빙하'..따뜻한 물 발견 충격 file 태일[太一] 134
13 27억 년 전 지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는 무려 70% 였다 file 태일[太一] 145
12 <불가사의>고대 거석에서 발견되는 다양한 별모양의 드릴 구멍 file 태일[太一] 155
11 이탈리아 하루만에 사망자 250명 최대폭 증가..확진 1만7천660명 file 태일[太一] 167
10 [우주과학] 미국의 원반형 비행체 개발 실체해부 file 태일[太一] 169
9 NASA, 소행성 탐사 중 블랙홀 폭발 포착했다 file 태일[太一] 171
8 미래예언/한국예언-북두성에 혜성이 범하면 임금이 바뀐다 -천문류초 file 태일[太一] 173
7 나사 "2020년 지구평균기온, 역대 가장 높았다.. 지구 온도 계속 상승" file 태일[太一] 181
6 이번엔 UFO 비밀 풀릴까..美 CIA, 기밀해제 문서 공개 file 태일[太一] 196
5 인간의 치사율 60 % "H5N1가 인간 사이에 쉽게 감염이 가능해질 것이다 중대한 우려" file 태일[太一] 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