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이치(理)를 거스름은 곧 스스로 마음속 하늘을 속이는 것이니 이는 하늘에 있는 하늘을 속이는 것이니라.화(禍)는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요 죄가 제 몸에 미친 것이니라.
    - 증산도 도전2:90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우주일년 129,600년을 뒷받침해 주는 자료

KBS-1TV 과학 다큐멘터우주자료1

 

빙하기의 흔적들

집잃은 바위:

우주자료2

빙하기의 잔재로 캐나다 앨버트 곡창지대와 미국 센트럴 파크에 난데없이 지반과는 완전히 성격이 다른 바위들이 옮겨져 있는 모습 과연 이만한 크기의 바위를 움직인 힘은 과연 어떤 것이었을까?
 
과학자들은 20세기에 들어와서, 이 돌들이 홍수에 의해 옮겨진 것이라는 생각 대신에 빙하에 의해 운반되었다는 생각을 굳히게 되었다.
 
빙하 속에 파묻힌 북아메리카 상상도: 지난 빙하기에 북아메리카 대륙은 아마 이런 모습을 하고 있었을 것이다. 방하기에 북아메리카 대륙의 중앙을 덮은 얼음은 무려 4,000m 두께에 달하였고, 물론 해변으로 가면 두께는 얇아지겠지만 대부분의 대륙을 덮은 얼음의 두께는 2,000m 이상이었다고 한다. 뉴욕 시카코 등을 포함하여 북위 40 까지 대규모 빙하가 덮혀 있었다.
 
때를 같이하여 유라시아 대륙에도 대규모 빙하가 이동하고 있었다. 이로써 육지의 1.3이 두꺼운 얼음아래 깔리게 되었다.

우주자료3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이렇게 대규모 방하가 형성된 것이 한번 있었던 일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지난 100만년 동안 적어도 7회의 빙하기가 있었다
육지의 1/3, 100만년동안 적어도 7회: 지난 100만년 동안 적어도 7회의 빙하기가 찾아왔었다.(계산해보면, 대략 14만년마다 1번씩 지구에 빙하기가 찾아왔다는 것이다.) 뉴욕의 센트럴 파크에 굴려다 옮겨놓은 돌들은 대략 11만 5,000년 전쯤부터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주자료4

그렇다면 빙하기는 왜 생기는 것일까?
 
그 답은 우선 지구가 태양을 안고도는 방식, 즉 공전의 형태 속에서 찾을 수 있다. 지구는 가까운 달을 비롯해 다른 행성들, 특히 태양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이들의 영향력으로 형성된 균형상태에서 조금만 벗어나도 지구의 움직임에 이상이 생기게 된다.
 
 
지구궤도가 타원형에서 원형으로 복귀한다
 
궤도변화:

우주자료5

그런데 지구의 이상한 움직임 가운데 공전궤도가 달라진다. 지구의 공전궤도는 원칙적으로 원을 그리는 것인데, 타원을 그리다 다시 원상복귀하는 경우가 10만년을 주기로 하여 한번씩 찾아온다.
 
 
지축이 흔들린다
 
지축변동:

우주자료6
이상상태는 공전궤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또 한가지 중요한 사실은,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가 달라지는 것이다. 지구는 현재 23.4도 기울어져 있다.
 
그렇다면 왜 지축이 기울어졌을까?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변한다. 기울기는 대략 4만년을 주기로 하여 커졌다 작아졌다 한다는 것이다.
 
가령 북반구의 한 지역을 예로 들어보자. 기울기가 커지면 보다 많은 태양에너지를 받게 되지만, 기울기가 줄어들면 그만큼 햇볕을 적게 받게 된다. 그러므로 지축의 기울기는 당연히 지구의 기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우주자료7

) 침전물 스펙트럼 분석
우주일년 129600년에 대한 과학적 자료로서 Nature지(1999년 2월 25일자)에 실린 한 논문의 내용을 간추려 소개한다. 논문의 요지는 헝가리에 있는 푸라(Pula) 분화구의 호수내의 화분(花粉) 침전물을 스펙트럼 분석을 해보았더니, 124,000년의 주기성을 가지고 지구가 변화한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는 것이다.
 
 124,000-year periodicity in terrestrial vegetation change
 During the late Plicene epoch
 K. J. Willis, A. Kleczkowski & S. J. Crowhurst, “124,000-year periodicity in terrestrial vegetation change during the late Plicene epoch”, Nature, Vol 397, 25 Feb. 1999 pp. 685-688

 
 
지난 플라이어신(Pliocene; 300만년에서 260만년 전, 鮮新世) 시기는 지구의 기후 변화 시스템을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한 기간이다. 지구가 점진적으로 차가워지는 시기였으며 그 결과 지구상의 빙하가 증가하고 북반구의 활발한 빙결작용이 시작되었다. 여기서 우리는 지난 플라이어신(Pliocene; ∼3 - 2.6 million years ago, 鮮新世) 시기의 기후 변동, 좀더 자세히 말하면 극적이고 전체적인 환경변화를 나타내는 이 시기의 지구상 식물(초목)의 반응에 대한 고해상도의 대륙적인 기록을 보여주려고 한다. 헝가리에 있는 푸라(Pula) 분화구의 호수에서 해마다 얇은 판자모양으로 층층이 쌓여있는 침전물들은 과거 300만년에서 260만년전의 32만년 동안의 지구 기후변화의 기록을 담고 있다. 그 기록의 스펙트럼 분석에 의하면 황도경사(obliquity)와 세차운동(precession)의 주기동안에 들어오는 태양 복사에 대한 지상의 반응을 알수 있지만, 가장 강력한 지상의 반응은 124,000년의 주기를 가지고 일어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푸라 분화구의 기록은 124,000년의 주기를 가지는 온도 시스템의 내부적으로 유도된 비선형적인 반응들은 최소한 지난 플라이어신 기간동안에 일어난 큰 규모의 환경변화을 유도한 세차운동과 황도경사의 궤도 주파수에 가해지는 외부적인 힘만큼 중요하다는 것이다. (중략)
 
그러므로 푸라(Pula) 분화구로부터 얻어진 결과들은 세차운동과 황도경사의 궤도 주기와 더불어 내부적으로 일어난 124,000년의 주기성을 가지는 비선형적인 기후변화도 지상의 식물(초목)의 역학적인 변화를 유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광범위한 환경적인 변화와도 충분한 관계성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 지상의 결과는 지구 기후 시스템에서의 위급한 시기동안에 식물(초목), 빙하의 양, 그리고 일조력 사이의 물리적인 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를 제공해 줄 것이다.
 

우주일년 129600년에 대한 과학적 자료로서 월간과학 Newton지 (1997년 10월호)에 실린 내용을 간추려 소개한다. 남극의 얼음기둥에 함유된 물질을 분석한 결과 지난 34만년 동안 빙하기와 간빙기가 3번 바뀌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지구의 과거는 남극대륙을 덮고 있는 수㎞ 두께의 얼음에 가장 잘 간직되어 있다. 남극 빙상에는 태양, 삼림, 사막, 화산등을 기원으로 하는 다양한 물질이 운반되어, 오랜 세월동안 눈과 함께 퇴적된다. 이 눈은 녹지 않고 해마다 쌓여 차츰 얼음이 되는데, 이 과정에서 공기도 기포 형태로 얼음 안에 갇힌다. 과학자들은 이 얼음 속의 여러 물질을 분석하여, 과거 수십만년 동안의 지구 기후 변화를 높은 정밀도로 복원해 낸다. 그래서 남극 빙상은 지구 환경의 타임캡슐로 일컬어진다.
 
1996년 12월, 표고 3810m에 있는 남극의 돔후지 관측 기지에서, 2503.52m 깊이의 빙상코어가 채취되었다. 과학자들이 이 빙상코어의 얼음속에 포함된 동위원소의 비율을 분석하여 과거 기온을 복원하고 각 시대별 환경을 추적한 결과, 25층의 화산회를 찾아내고 지난 34만년동안 ‘빙기-간빙기’가 3번 교차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이 데이터는 증산도에서 말하는 우주일년 129,600년의 타당성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 약 12만년에 달하는 기후변화의 대주기, 그리고 대 격변의 시기를 추정할 수 있게 해주는 화산회의 흔적이 그렇다.



조회 수 :
374
등록일 :
2012.12.25
17:20:29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7/1344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70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1 2020-02-19
21 * 과학에서 말하는 우주 1년 * [동영상] file 태일[太一] 259 2008-11-25
* 과학에서 말하는 우주일년* 이것이 129,600년 우주일년인 데 그러면 이게 증산도만의 이야기 아니겠습니까? 증산도에서 떠드는 건데 이게 다 맞는 보편적인 이론입니까? 이렇게 생각할 수 있죠. 그래서 이것을 밥 먹고 지구덩어리만 연구 하는 과학자들이 ...  
20 우주 1년이란? 태일[太一] 157 2008-11-21
우주 1년이란? 만약 저와 직접 상담을 원하시면 아래의 방법으로 연락주세요^^ 친절하게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저는 홈페이지 운영자 태일 입니다.^_^ (방법1) 본 페이지 좌측하단「입문신청클릭」를 이용합니다. 또는 지금 바로 ..입문신청 클릭...하시면 됩...  
19 우주에도 일년 사계절이 있어요! file 태일[太一] 183 2008-11-19
우주일년의 핵심원리 지구가 일년 동안 태양을 안고 한 바퀴 공전하면, 12만9천6백이란 숫자가 나옵니다. 하루에 지구가 한 바퀴, 즉 360도씩 자전을 하면서, 그걸 1년 360일 동안 거듭하면, 지구는 총 129,600(=360×360)도를 회전합니다. 이게 지구1년의 정...  
18 소강절(1011~ 1077)은 송나라 때의 성리학자이다. file 태일[太一] 246 2008-11-16
소강절의 명시名詩 소강절(1011~ 1077)은 송나라 때의 성리학자이다. 소강절(邵康節 1011∼1077) 선생은 송(宋)나라 때의 명현(名賢)으로서 역(易)의 상수(象數)원리를 밝히고 점복(占卜)의 도(道)로써 역의 진리를 확인하여 역학의 새로운 장(章)을 연 학자이...  
17 사람이 요모양 요꼴로 생긴 이유는? file 태일[太一] 200 2008-11-16
사람이 요모양 요꼴로 생긴 이유는? 사람은 왜 이렇게 생겼을까? 사람은 왜 이렇게 생겼을까.. 사람몸을 자세히 보면 상체는 뼈가 밖으로 나와 있고 하체는 뼈가 안으로 들어가있어요. 왜 그럴까 한번 알아봅시다. 인체의 따뜻한 양기는 위로 올라갑니다. 위...  
16 하늘의 별중에는 나의 별도 있어요. file 태일[太一] 184 2008-11-16
하늘의 별중에는 나의 별도 있어요. 여름날 밤에 아들에게 들려준 별 이야기 어느 여름날 밤에 운기가 아들 복식과 함께 마당에 자리를 깔고 나란히 누워 칠성을 가리키며, 아버지: “저 별을 한번 봐라.” 아들: “아버지, 북두칠성 같으네? 일곱 개 별이 저기 ...  
15 지금은 어느 때인가? file 태일[太一] 270 2008-11-08
우리가 사는 지금은... -증산도 김병기 강사의 강의 내용입니다- ‘우주가 음양으로 인간을 낳아서 키워서 열매를 맺기 위해서 돌아가는 구나~’ 이것은 이해가 간다. 그렇지만 중요한 것은 저와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대가 과연 129,600년의 우주 1년 가운데 ...  
14 우주일년과 생장염장 file 태일[太一] 229 2008-11-08
우주일년과 생장염장 -증산도 김병기 강사의 강의 내용입니다- 우주 변화의 근본정신, 생장염장 나는 생장염장(生長斂藏) 사의(四義)를 쓰나니 이것이 곧 무위이화(無爲以化)니라. (도전 2:20:1) 생장염장 (生長斂藏) 생장염장이다. 상제님께서 이렇게 말씀을...  
13 우주는 이렇게 둥굴어간다 file 태일[太一] 259 2008-11-08
우주는 이렇게 둥글어 간다 -증산도 김병기 강사의 강의 내용입니다- 오늘 태전까지 증산도의 진리를 공부를 해 보겠다 해서 지인과 친척들과 함께 소중한 시간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부터 해서 1박2일의 교육이 진행됩니다. 오늘과 내일 교육을 마치시...  
12 우주1년 용어 해설 태일[太一] 158 2008-10-31
우주일년이란 무엇입니까?  초목이 지구일년을 한 주기로 하여 탄생 성장 결실하듯, 인간 역시 우주일년의 틀속에서 윤회를 거듭하며 영적으로 성숙합니다. 이 우주일년은 인간의 영적 성숙의 주기이며 또한 인류문명이 탄생, 성장, 성숙, 소멸되는 큰 주기...  
11 우주1년을 알아 보자! (플래쉬) file 태일[太一] 157 2008-10-31
P{margin-top:2px;margin-bottom:2px;}  
10 남극 얼음 뚫어 42만년간 4번의 빙하기 밝혀 file 태일[太一] 203 2008-09-30
남극 얼음 뚫어 42만년간 4번의 빙하기 밝혀 [조선일보] 영화에서는 극지의 얼음을 시추해 과거 기후를 알아보는 장면이 나온다. 이런 연구는 실제로 진행되고 있다. 남극의 가장 높은 3488m 고지에 위치한 러시아 보스토크 기지에서는 1998년 1월 3623m 깊...  
9 증산도에서는 왜 우주일년을 이야기합니까? file 진리의 빛 179 2008-09-28
증산도에서는 왜 우주일년을 이야기합니까?    증산도의 진리는 우주일년에서 출발해서 우주일년으로 매듭짓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지금 이 세상이 왜 이런가? 인류의 미래는 어떻게 되는가? 증산도에서 추구하는 궁극목적은 무엇인가?’ 이에 대한...  
8 꼭 알아야 하는 비밀 file 진리의 빛 172 2008-09-28
시간은 쉬임없이 흘러갑니다. 하지만 제멋대로 흐르는 것이 아닙니다. 음(陰)과 양(陽)의 순환을 거듭하며, 오묘한 질서를 이루며 흘러갑니다. 하루의 시간 변화를 잘 살펴 보십시오. 낮과 밤, 밤과 낮이 음·양의 리듬을 타고 거듭되지 않습니까? 사람 역시 ...  
7 우주에도 1년 4계절이 있다.[동영상] 태일[太一] 345 2008-09-15
우주에도 1년 4계절이 있다. ...^_^...  
6 여름철 극기에 현상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진리의 빛 170 2008-09-13
기후변화공모전 대상에, 최악의 대기오염 선물하는 영국정부! 대체 이런 공모전은 왜 하는거냐? 일터인 학교에서 간혹 대학내일(http://www.naeilshot.co.kr/ )이란 잡지를 들춰보곤 한다. 딱히 읽을거리가 있는 것도 아니고, 정부.기업의 요란한 이미지광고와...  
5 생장염장 순환법칙으로 바라본 인류역사의 전개 file 진리의 빛 198 2008-09-13
생장염장 순환법칙으로 바라본 인류역사의 전개 인간의 삶, 역사전개를 규정하는 절대적인 법칙이 있는가? 사람에게는 다음과 같은 궁금증이 있다. 언제부터 이 지상에 사람이 살기 시작하여 어떠한 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가? 그리고 앞으로 인류의 삶은...  
4 카오스와 후천개벽 진리의 빛 194 2008-09-13
서구인들에게 기본 신앙이 되어버린 근대과학적 세계관은 19세기 말 자연의 신비에 대한 끊임없는 인간이성의 도전 속에서 조금씩 모순과 한계를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20세기의 여명과 함께 증산 상제님의 무극(카오스)대운이 역사 속에 그 서광(瑞光)이 비...  
3 우주의 신비 (어디가지 가야 알수 있을까) 진리의 빛 221 2008-09-13
우주의 신비 NASA에서 찍은 토성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태양 흑점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NASA에서 찍은 안드로메다 은하 Hubble Deep Field 출처 : Astronomy Picture of the Day 유성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아레시보 전파망원...  
2 사라진 제국이 남긴 흔적…‘아틀란티스로 가는 길’ 진리의 빛 177 2008-09-13
사라진 제국이 남긴 흔적…‘아틀란티스로 가는 길’" 아틀란티스는 많은 고고학자들을 설레게 해 온 이름이다. 아름답고 강한 고대제국이 위세를 떨쳤지만 기원전 1만 년경 지진과 홍수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다는 이야기. 역사학자인 저자도 아틀란티스에 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