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사람마다 그 닦은 바와 기국(器局)에 따라서 그 임무를 감당할 만한 신명이 호위하여 있나니 만일 남의 자격과 공부만 추앙하고 부러워하여 제 일에 게으른 마음을 품으면 신명들이 그에게로 옮겨 가느니라.못났다고 자포자기하지 말라. 보호신도 떠나느니라
    - 증산도 도전4:154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사라진 제국이 남긴 흔적…‘아틀란티스로 가는 길’"


[동아일보]

아틀란티스는 많은 고고학자들을 설레게 해 온 이름이다.

아름답고 강한 고대제국이 위세를 떨쳤지만 기원전 1만 년경 지진과
홍수로 바다 밑으로 가라앉았다는 이야기
. 역사학자인 저자도
아틀란티스에 매혹됐다.

‘아틀란티스로 가는 길’은 ‘아틀란티스는 실재한 제국’이라는
저자의 믿음을 증명하는 책이다. 20여 년 모아온 자료를 정리하고
 얼개를 짜 맞춰 아틀란티스 신화를 복구한 저자의 노력이 돋보인다.

저자가 주장하는 아틀란티스의 위치는 오늘날의 쿠바. ‘아스틀란’에서
 건너온 ‘뱀의 사람들’이 멕시코의 일곱 개 동굴에서 살았다는
 멕시코 신화를 소개하면서, ‘아스틀란’이 ‘아틀란티스’와 어원적 뿌리를
 같이하고 ‘뱀의 사람들’은 쿠바에서 건너온 사람들이라고 주장한다.

일곱 개 동굴이 쿠바 본토에서 100k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됐다는 등
 발품을 들인 증거물도 내놓는다. 이와 함께 아틀란티스 문명이 사라진 데 대해서도 고대 문서를 분석해
운석으로 인해 빙하시대가 도래했고 이 시기에 아틀란티스 문명이 사라진 것이라고 주장한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고대 수수께끼 중 하나는 매머드의 죽음을 둘러싼 정황이다.

약 1만3000년전 멸종한 것으로 알려진 이 거대한 동물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등 북극해 주변에서 완벽한 원형을 유지한 채 발견됐다.

화석 형태가 아니라 얼음에 묻혀 냉동된 상태로.

 

특히 1846년 시베리아의 인디기르카 강 바닥에서 찾아낸 키 4m,몸 길이 4.5m의 매머드는 어찌나 보존상태가 좋았던지 마치 살아있는 것 같았다고 한다. 그러나 그보다 더 중요한 특징은 서있는 자세로 얼어붙었다는 점.


 

 

이는 매머드가 죽은 뒤에 냉동된 게 아니라 살아 움직이다가 한순간에 빙결됐음을 말해준다.

 

급속 냉동을 보여주는 증거는 또 있다.

그 후 발견된 매머드 일부의 경우 위 뿐만이 아니라 입 안에도 씹던 풀들이 남아있었던 것. ‘식사’중에 그대로 동결됐다는 얘기다. 희한한 사실 하나 더. 매머드가 먹던 풀들은 열대 혹은 온대 식물이었다!

 

 

 도대체 이런 일이 어떻게 가능할까?

 

여러 학설,가설 중 하나가 ‘극(極)이동’,또는 ‘극 점프’설이다. 강력한 소유성의 충돌로 지구의 자전축이 약 20도 이동함에 따라 온화한 지역이 단 몇시간 만에 극권으로 변하는 등 기후대가 급속하게 바뀌었다는 게 골자. 이로써 북반구에서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남반구에서는 남극대륙에서 갑작스런 결빙이 야기됐다고 한다.

 

지구의 자전축에 변화가 올 경우 기후 이변 등 지구 생태계에 엄청난 영향이 미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하다. 기본적으로 4계절의 변화가 지축의 기울기로 인해 일어나는 현상이기 때문이다.

 

 


화성도 급격한 지축변동이 있었다
 

화성 극이동의 역사발견, 화성 극이동

 

한 시대에는 적도에 얼음 상태의 물이 있다가 다른 시대에는 사라지는 것이 어떻게 가능할까? 과학자들은 화성의 변화무쌍한 궤도경사에서 이러한 기후 변화의 원인을 찾고 있다.

다른 행성들의 위치 등 몇 가지 요인으로 태양에 대한 화성의 궤도경사가 오락가락하는 것이다.
화성의 궤도경사는 500만 년 동안 15-35° 사이에서 약 50번 변화했고, 더 오래전에는 0-60° 사이에서 변했다고 한다. 

 

 

화성이 심하게 기울었을 때(위의 1번과 2 번 두 모형),

즉 궤도경사가 클 때는 얼음이 증발하게 되고 저위도 지역이 더 추워지게 된다.

 

궤도경사가 35°로 완만할 때(3번 모형)는 반대 현상이 일어나 저위도 지역에서 얼음이 녹고 극지에서 얼음이 언다.

 

지금처럼 궤도경사가 25°일 때(4번 모형)는 가시적인 얼음은 북극에 집중된다(그림은 화성의 북반구 겨울).
지구에서는 궤도경사가 1°만 변해도 빙하기가 올 수 있다.
 
출처 : 《내셔널 지오그래픽》한국판/2004년 1월호

조회 수 :
177
등록일 :
2008.09.13
18:06:33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7/1275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57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27
21 가을개벽을 앞두고 우주의 주재자가 다녀가셨다. 태일[太一] 191
20 문답으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태일[太一] 190
19 하늘의 별중에는 나의 별도 있어요. file 태일[太一] 184
18 우주에도 일년 사계절이 있어요! file 태일[太一] 183
17 상생과 우주 일년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82
16 나무와 분수를 통해서본 오행 file 진리의 빛 181
15 증산도에서는 왜 우주일년을 이야기합니까? file 진리의 빛 179
» 사라진 제국이 남긴 흔적…‘아틀란티스로 가는 길’ 진리의 빛 177
13 천존,지존,인존으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file 태일[太一] 173
12 북극은 과거에 열대기후였다” file 진리의 빛 173
11 우주일년(천지일년)이란 무엇입니까? file 태일[太一] 172
10 꼭 알아야 하는 비밀 file 진리의 빛 172
9 지구대멸종 - 우주일년(밀란코비치) [동영상] 태일[太一] 171
8 우주의 대주기와 문명의 전환 file 진리의 빛 170
7 여름철 극기에 현상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진리의 빛 170
6 동토의 땅 시베리아가 녹아내린다 태일[太一] 168
5 우주 1년! 네개의 시간대가 열린다 file 태일[太一] 166
4 정역을 완성한 김일부-그가 말한건 무엇일까? file 태일[太一] 161
3 우주1년 용어 해설 태일[太一] 158
2 우주 1년이란? 태일[太一]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