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무료책자

상담신청
  • 상제님께서 성도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비록 고생은 따를지라도 영원히 생명을 늘여 감이 옳은 일이요 일시의 쾌락으로 길이 생명을 잃는 것은 옳지 않으니라." 하시니라.
    - 증산도 도전9:217
증산도 도전
미스테리5.gif

추석, 귀향 그리고 코스모스 / 배병삼 우주일년129600년

[세상읽기] 추석, 귀향 그리고 코스모스 / 배병삼

2008-09-11 19:56
[한겨레] 세상읽기

태고 적에는 사계절이 아니라 ‘두 계절’만 있었다고 한다. 요즘 학생들에게 한 해를 대표하는 두 철을 꼽으라면 대부분 여름과 겨울을 든다. 이때에 방학이 있기 때문이리라. 하나 옛사람들에게는 봄과 가을이었다. 춘추(春秋)라는 말 속에 그 뜻이 잘 들어 있다. 공자가 지었다는 역사서 <춘추>가 세월의 대명사인 데서 그러하고, 또 어르신들 나이를 물을 때 “춘추가 어떻게 되시냐”고 여쭙는 오늘날 말투에도 그런 흔적이 남아 있다.

봄가을이 한해의 대명사였던 까닭은 농경과 관련된다. 봄은 씨를 뿌리는 때요, 가을은 거둬들이는 철인 것이다. 예나 지금이나 먹고사는 문제가 절실했기 때문이리라. 이 가을로 접어드는 큰 명절이 추석이다. 한데 음력 팔월 보름을 명절로 삼는 나라는 우리나라뿐이다. 중국에선 이미 오래전에 사라졌고 일본에서는 명절인 적이 없었다. 우리는 신라 유리왕 때부터 즐겼던 것이 기록으로 남아 있으니(<삼국사기>), 추석이야말로 이 땅 고유의 풍속으로 여겨도 좋을 것이다.

하나 추석이 추수감사절은 아니다. 도리어 본격적인 가을걷이는 추석을 지난 다음부터다. 한여름 뜨거운 햇살에 잘 자란 오곡백과가 끝까지 잘 무르익기를 바라는 기원의 명절이 추석이다. 채 익지 않은 햇곡식을 거둬 조상께 먼저 올리고, 집터 귀신인 성주님과 부엌귀신인 조왕신에게 인사드리는 것도 수확기를 앞두고 재액이 일지 않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깃든 풍속인 것이다. 곧 태풍 철이 기다리고 있고, 또 때이른 서리가 다 지은 작물을 망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추석이 내일모레다. 이즈음 고향 길을 연상하면 떠오르는 풍정이 빨간 고추잠자리, 황금색으로 일렁거리는 들판, 쨍하니 파란 하늘, 그리고 국도변과 시골길가에 핀 코스모스 군락이다. 본시 이 땅의 가을을 대표하는 꽃은 국화였는데 언젠가부터 코스모스로 바뀌었다. 70년대 이후 귀향길의 설렘을 잘 표현하기로는 나훈아가 불렀던 ‘고향역’만한 것이 없는 듯한데, 거기서도 “코스모스 피어 있는 정든 고향역”으로 노랫말을 시작한다.

코스모스는 서로 다른 각색의 꽃들이 한데 어울릴 때라야 제대로 된 맛이 난다. 한 송이로는 고작 가냘프고 연약한 들꽃에 지나지 않는다. 가끔 유전자 조작을 한 것인지 노랑꽃만으로 이뤄진 일색의 코스모스를 길가에서 보곤 하는데, 그건 전혀 코스모스답지가 않다. 도리어 빨간 것은 검붉을 만큼 빨갛고, 노란 것은 밀감껍질처럼 짙게 노랗고, 하얀 것은 파스텔이 묻어날 것같이 하얄 때, 그리고 그 선명한 색깔들이 잘 섞여 있을 적에야 코스모스답다. 아, 그렇다면 알 것 같기도 하다. ‘조화·질서’를 뜻하는 희랍어 코스모스(kosmos)를 제 이름으로 얻은 것도 각색의 꽃들이 어울려 빚어내는 아름다움 때문이지 싶다. 서로 다른 색깔들의 어울림 속에 그 꽃다움이 있는 것이다.

농경이 무너지니 추석도 옛날 같지가 않다. 돌아갈 고향인 시골도 늙은 어미의 젖가슴처럼 바짝 말랐다. 추석은 백화점의 선전판 속에서나 요란하고, 서로 나누던 정은 상품권 속으로 숨어들었다. 추석이 매너리즘에 빠진 것이다. 껍질(형식)이 속살(현실적 삶)과 유리되어 그 틈이 커지면 질곡으로 변하는 법이다. 허나 수천 년을 이어온 전통을 또 어찌 내다버리랴.

추석이란 넉넉한 날이기보다 넉넉하기를 기원하는 날임을, 모자란 중에도 서로 나눠 먹는 날임은 잊지 말 일이다. 잘살고 못살고를 떠나 사람 그 자체를 중히 여기고 대접하는 날이 추석임은 계속 이어갈 일이다. 코스모스가 추석 즈음에 한창인 것도 우연치 않은 일이다.

배병삼 영산대 교수·정치사상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조회 수 :
208
등록일 :
2008.09.13
17:30:01
엮인글 :
게시글 주소 :
http://mission1691.com/a7/127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수 날짜sort
공지 증산도 ‘후천 신선문화 수행법 file 태일[太一] 570 2022-12-24
공지 인간이라면 누구도 꼭 가야 되는 길이 있다 file 태일[太一] 2332 2020-02-19
41 인의예지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태일[太一] 233 2012-12-25
인의예지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우주일년 도표 중 인의예지(仁義禮智)는 무엇입니까?   인의예지(仁義禮智)란 인간이 마땅히 갖추어야 할 네 덕(德) 곧 ‘어짊과 의로움과 예의와 지혜’를 말합니다. 이를 흔히 사덕(四德)이라고도 합니다.   이 중 인(仁)은 ‘...  
40 가을개벽을 앞두고 우주의 주재자가 다녀가셨다. 태일[太一] 191 2012-12-25
가을개벽을 앞두고 우주의 주재자가 다녀가셨다. 천지일월(대자연)은 사람농사를 짓기 위해서 존재한다. 우주의 봄철에 천지는 인간을 낳아 여름철 끝까지 상극도수로 길러왔다. 그러면 왜 천지는 왜 사람을 낳아서 길렀는가? 바로 가을철에 사람 열매를 결실...  
39 대자연의 섭리 속에서 생존하는 만유의 생명체 file 진리의 빛 238 2009-06-22
[종도사님 말씀] 대자연의 섭리 속에서 생존하는 만유의 생명체   道紀135년 양력 7월 29일, 증산 상제님 어천치성 목록 [1] [2] [3] [4] [전체보기]    천지의 목적, 춘생추살  오늘 이 시간을 통해서, 대우주 천체권 내에 생존하는 만유의 생명체는 어...  
38 천존,지존,인존으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file 태일[太一] 173 2009-06-20
? 상제님은 “천존(天尊)과 지존(地尊)보다 인존(人尊)이 크니 이제는 인존시대니라. (道典 2:13:3)”고 하셨다. 인간 생명의 모태(母胎)인 하늘, 땅보다, 인간 생명이 더 존엄하다는 것이다. 인간에 대한 인식을 뒤집어 버리는 말씀이다. “인존이 크다.”는 이 ...  
37 우주일년(천지일년)이란 무엇입니까? file 태일[太一] 172 2009-06-16
우주일년(천지일년)이란 무엇입니까? 핵심은 아주 쉽고 간단합니다. 지구상의 초목이 지구일년의 춘하추동에 따라 싹 틔우고 열매 맺듯, 인류문명 역시 우주일년의 춘하추동을 따라 발전한다는 것입니다.    천지의 일년(우주의 일년)은 어떻게 변화합니까? ...  
36 한 겁이란 십이만 구천 육백 년을 이르는 말이다 !!.. file 진리의 빛 281 2009-06-14
한 겁이란 십이만 구천 육백 년을 이르는 말이다 !!.. [서유기]책을 뒤져 우주일년의 일주기인 129,600년이 나오는 부분을 찾았네요. 참고하시라고 올려놓습니다. ============================================= 석가모니가 하늘나라를 엉망으로 만들어놓은 ...  
35 북극은 과거에 열대기후였다” file 진리의 빛 173 2009-06-14
북극은 과거에 열대기후였다” [서울신문]“북극이 과거엔 열대기후였었다.” 네덜란드 지질학자 등 국제조사팀이 북극해 해저 400m에서 파낸 퇴적층에서 북극의 과거 비밀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BBC방송은 8일 “국제조사팀이 5500만년전에 북극이 얼음이 없는 ...  
34 지구 주변의 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 file 진리의 빛 211 2009-06-08
지구 주변의 별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들 러시아 국립과학 연구소는 우리에게 시간선을 알려주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인정되고 알려진 변화는 1000% 증가를 나타낸다. 그리고 그 과학자들은 태양에서의 이러한 변화는 행성들이 작동하는 방식을 바꾸고 있으...  
33 나무와 분수를 통해서본 오행 file 진리의 빛 181 2009-05-28
나무를 통해서본 오행 만물 가운데에서 오행 기운의 변화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것은 나무. 나무는 땅에 뿌리를 내리고 봄에 하늘을 향해 싹을 냅니다 (위로 솟구치는 목木의 기운). 그리고 여름이 되면 그 싹이 자라서 가지를 뻗고 잎이 무성해지며 꽃을 ...  
32 상생과 우주 일년 이야기 file 태일[太一] 182 2009-05-04
이 글은 매달 증산도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리는 <상생문화 한마당> 강의 중 한 편을 정리한 것입니다.   역사를 바꾼 20세기 초의 두 인물 귀한 시간을 내서 이 자리에 참석하신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20세기 초에 두 명의 인물이 있었습니다. ...  
31 우주 만물은 순환 속에 존재한다 file 태일[太一] 286 2009-04-24
우주 만물은 순환 속에 존재한다 만물은 순환한다 지금은 활발한 우주 탐사를 하는 우주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런데도 아직 사고방식의 원시성을 벗어버리지 못하고, 시간은 태초로부터 영원히 흘러간다는『직선적 시간관,세계관』의 관념을 가지고 있는 ...  
30 우주 1년! 네개의 시간대가 열린다 file 태일[太一] 166 2009-04-24
우주 1년! 네개의 시간대가 열린다                  
29 정역을 완성한 김일부-그가 말한건 무엇일까? file 태일[太一] 161 2009-04-24
정역을 완성한 김일부-그가 말한건 무엇일까? 아래 표를 보는 바와 같이 우주의 기본적인 순환의 주기를 보면 겨울에서 봄으로, 봄에서 여름으로, 가을에서 겨울로의 변화는 그 기운의 변화가 순조롭습니다. 하지만 여름의 더운 기운에서 가을의 차가운 기운으...  
28 우주의 대주기와 문명의 전환 file 진리의 빛 170 2009-01-25
우주의 대주기와 문명의 전환 이 내용을 보시면서 좀 더 구체적으로 알고 싶은신분은 아래의 방법으로 연락주세요^^ 저의 핸드폰 010-7577-0081번으로 전화 또는 문자 메시지를 보내주시거나 또는 지금 바로 ..태을주 수행 입문신청 클릭...하시면 됩니다^^ <...  
27 우주일년과 인류의 기원(5색인종) file 태일[太一] 201 2008-11-30
우주일년과 인류의 기원(5색인종) 인류의 기원은 우주의 기원과 같습니다. '인간이 언제부터 지구에 출현했는가?'하는 문제는 우주의 탄생과 그 진화과정에 대한 물음과 동일한 것입니다. 앞에서 살펴본 우주 1년(12,9600년)을 대입하여 살펴보면 현생인류는 ...  
26 동토의 땅 시베리아가 녹아내린다 태일[太一] 168 2008-11-30
동토의 땅 시베리아가 녹아내린다 북극 시베리아에 열기가 느껴진다. 그 땅은 수천 년 동안 얼어있는 상태였기에 영원히 녹지 않는 땅으로 알려져 있다.그런데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지금 녹고 있다. 얼음이 녹아내리면서 굳었던 땅이 진흙탕으로 변해, ...  
25 문답으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태일[太一] 190 2008-11-30
문답으로 알아보는 우주일년  인간은 자연에서 태어나 자연으로 돌아가는 존재이기 때문에 인간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천지대자연, 즉 우주에 대한 탐구부터 시작해야만 합니다.    증산도에서는, 초목이 지구일년을 주기로 탄생하고 결실을 맺듯 인간 ...  
24 지구대멸종 - 우주일년(밀란코비치) [동영상] 태일[太一] 171 2008-11-27
지구대멸종 - 우주일년(밀란코비치) ...^_^...  
23 인간 형상의 우주 - 우주 탄생의 비밀[동영상] 태일[太一] 201 2008-11-27
인간 형상의 우주 - 우주 탄생의 비밀 ...^_^...  
22 [BBC특집] 우주의 탄생과 인류의 기원(동영상) file 태일[太一] 228 2008-11-26
[BBC특집] 우주의 탄생과 인류의 기원(동영상) ...^_^...